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개정시안 (Ein Verbesserungsentwurf ueber die Rechtsstellung des Tieres im koreanischen BGB)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11
24P 미리보기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개정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29권 / 3호 / 259 ~ 282페이지
    · 저자명 : 윤철홍

    초록

    본 논문은 1988년의 오스트리아민법, 1990년 독일민법, 2002년 스위스민법에서처럼 우리 민법에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규정의 신설을 위한 구체적인 시안을 제안한 것이다. 본 시안은 일반적인 동물의 법적 지위에 대해서는 민법총칙 물건의 장에 하나의 규정(제98조의 2)을 두어 동물의 비물건성과 특별법에 의한 보호 및 준용규정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211조 제2항에서는 동물소유자의 동물 처분시 동물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제한 규정을 두었으며, 제752조의 2에서는 동물을 살상한 경우에 치료비가 교환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치료비를 손해로서 배상토록 하면서, 살해된 경우에는 위자료를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 더 나아가 민사집행법상 압류금지 조항에 반려동물 등을 포함시키고자 한 것이다.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개정 작업은 동물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는 시급한 것이 아니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입법은 동물에 대한 보호의식 내지는 반려동물에 대한 인간의 배려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법리적 판단보다는 법정책적인 차원에서 개정여부를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반려동물에 대한 배려와 법적인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시안을 제안한 것이다.

    영어초록

    1. In dieser Arbeit wird ein Verbesserungsentwurf des koreanischen BGB ueber die Rechtsstellung des Tieres unter der besonderen Beruecksichtigung des oesterreichischen und deutschen sowie schweizerischen Zivilrechts neu vorgeschlagen. Der Entwurf besteht aus 4 Regelungen.


    2. Der Verfasser hat die entstehungsgrundlegende Idee der obenen erwaehnten 3 Gesetze aufgenommen. Der Verbesserungsentwurf und seine Bedeutung sind wie folgt:(1) §98-2 KBGB(Rechtsstellung des Tieres) ①Tiere sind keine Sache ②Sie werden durch besondere Gesetze geschuetzt ③ Die fuer Sachen geltenden Vorschriften sind auf Tiere entsprechend anzuwenden, soweit nicht etwas anders bestimmt ist.
    Diese Regelung spielt eine wichtige Rolle in diesem Entwurf. Sie bedeutet die Umwandlung der Beziehung zwischen dem Rechtssubjekt und Rechtsobjekt.


    (2) §211 ②KBGB(Inhalt des Eigentums)② Der Eigentuemer eines Tieres hat bei der Ausuebung seines Eigentums die besonderen Vorschriften zum Schutz der Tiere zu beachten.
    Die Regelung ist symbolisch und programmatisch, um das Bewusstsein der Buerger ueber das Tier staerken zu koennen. Die rechtliche Bedeutung sei aber nicht gross.
    (3) §752-2 KBGB(Schadenersatzanspruch bei der Verletzung oder Toetung des Tieres)① Bei Tieren, die im haeuslichen Bereich und nicht zu Erwerbszwecken gehalten werden, koennen die Heilungskosten auch dann angemessen als Schaden geltend gemacht werden, wenn sie den Marktwert des Tieres uebersteigen.
    ② Der Verletzer oder Toeter eines Tieres, das im obenen 1 Absatz bestimmt wird, ist zum Ersatz des Nichtvermoegensschadens fuer den Halter des Tieres oder dessen Angehoerige verpflichtet.


    Diese Regelung ist noch eine wichtige Bestimmung in der Rechtspraxis. Koreanische Gerichtshoefe haben mit dem Grundsatz des 'Treu und Glauben' den Schadenersatz mehr als den Marktswert der Sache anerkannt. Durch die Regelung koennen sie aber ohne Schwierigkeit die Schadenersaetze und Heilungskosten mehr als den Marktswert bei der Verletzung oder Toetung des Tieres entscheiden. Tiere selbst und das emotionale Interesse des Schuldner an seinen Tieren sollen geschuetzt werden, da Tiere nicht eine Sache sind.


    (4) §195 Nr.16 Koreanisches Zivilvollstreckungsgesetz(Unpfandbarkeit der Sachen) Tiere, die im haeulichen Bereich und nicht zu Erwerbszwecken gehalten werden, sind der Pfaendung nicht unterworfen. Wenn die Tiere keine Sache sind, kann man sie der Pfaendung nicht unterwerfen.


    3. Die Gesestzgebung ueber die Rechtsstellung des Tieres ist nicht notwendig heutzutage nach dem Gesichtspunkt zu Tieren. Und es gibt wenige Untersuchungen dazu in Korea. Die Gesetzgebungsarbeit sei m. E. nicht eine rechstheoretische Frage, sondern ein rechtspolitisches Problem fuer den Schutz und die Sorge des Tieres. Deswegen ist sie nach dem Gesichtspunkt der Rechtspolitik zu entscheiden. Aus diesem Grund wuenscht der Verfasser, dass dieser Verbesserungsentwurf akzeptiert wi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