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르스와 법: 전염병의 법률학 (MERS and Law: Legal Science of Plagu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07
28P 미리보기
메르스와 법: 전염병의 법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58호 / 239 ~ 266페이지
    · 저자명 : 이계수

    초록

    메르스(MERS)가 한국사회를 강타했다. 초기 국면에서 정부는 안이하고 의뭉스럽게 대처했고, 삼성서울병원도 병동격리 등의 강력한 대응조치는 뒷전으로 미루고 임기응변을 앞세웠다. 정부와 시장의 ‘협치’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의료 시민사회’가 근거 없는 공포에 맞서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질병관리의 주도권은여전히 (어용)지식과 권력이 쥐고 있다. 이런 문제들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해결책이 모색되지 않는다면 메르스 감염사태는 끝나도 끝난 것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정부가 (동물전염병을 포함하여) 전염병 대응에서 취해온 조치들의 위법성을비판한 뒤, 전염병의 사회적.정치적 맥락을 법사회학적으로 검토해보았다. 모든 질병이 그렇듯이 메르스 바이러스도 가난한 노약자,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가혹했다.
    이것이 질병.전염병의 계급성이고, 위생과 방역을 인적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구축해온 자본주의 근대 방역법 체계의 계급성이다. 자본주의 국가는 널리 인구를 역병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계급 간 지배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자본증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왔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자본주의가 저성장노선으로 이행하면서 이러한 근대 방역법 체계의 관심과 방향은 변용되었다. 국가-자본은 위생과 후생의 영역에서도 새로운 전략적 선택지를 찾아 나섰다. 공공복리를 실현할 책임이 국가에게 있음을 일단 인정하면서도, 책임의 제1차적 이행은 시장에게 넘겨주는 국가, 즉 보장국가 같은 패러다임이 이 과정에서 등장했다. 그러나 국가의 보장(혹은 보증)책임만으로 전염병 방지라는 공적 임무가 제대로 수행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지만 이번 메르스 사태가 보여주듯이 신자유주의 국가는 그나마 보장책임마저도 제대로 이행할 능력이 없는 것 같다. 이러한 현실에서 벗어나자면 어떻게 해야 할까? 쉽게 답이 나올 수 있는 질문은 아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전염병에 대한 대응이 경찰법적 규제의 강화로 일관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오히려 복지와 후생을보장하고 시민의 사회적․경제적 권리를 강화하는 것이 뭇 생명을 평등하고 안전하게 지켜주는 길임을 다시금 강조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hits the Korean society. In the initial stages, the government handled it in a lackadaisical attitude. Samsung Hospital also just resorted to a temporary expedient while they putting aside the strong countermeasures such as the isolation of wards. The governance between the government and market did not operate properly. The ‘medical civil society’ is providing information to confront the groundless fears, but the initiative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ill resides in the (government-patronized) knowledge and authority.
    If it were not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these problems and the search for the solution thereto, even the stoppage of MERS does not mean the end of the situation itself.
    In this article, after criticizing illegality of the measures which government has adopted against the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animal disease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of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reviewed in a socio-legal perspective. MERS, in common with many other diseases, was also harsh on the old and the impoverished and non-regular workers. This is the class system of infectious disease and modern anti-epidemic law which has established hygienic and anti-epidemic measure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 capitalist state has maintained the stabl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classes and created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capital increase as they protect people from plagues. But the direction of anti-epidemic law changed as capitalism shifted to the low growth path since mid-1970s. The State-Capital tried to find new strategic options in the fields of hygiene and welfare as well. The paradigm such as Enabling State―the stat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fulfillment of public welfare, while imputing the primary fulfillment of that responsibility to market―emerged in this process. But it is doubtful whether the public responsibilities concerning anti-epidemic measures will be implemented properly only with governmental guarantees. What is worse, this experience of MERS demonstrates that the neoliberal state is unable to fulfil even the very guarantee responsibility adequately.
    What is to be done about this problem? It is not a simple question. One thing is for certain, however, the response to the infection should not lean toward the reinforcement of police regulations. Instead,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strengthening welfare and social-economic rights of citizens is the best way to protect all sorts of lives equally and saf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