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형문화재진흥법의 쟁점과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ssues and Improvemen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06
19P 미리보기
무형문화재진흥법의 쟁점과 개선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5권 / 2호 / 591 ~ 609페이지
    · 저자명 : 김영국, 오승규

    초록

    무형문화재진흥법이 지난 2015년 3월 27일 제정되어 2016년 3월 2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문화재보호법상 무형문화재에 관한 규정들은 삭제되거나 일부 개정되었다. 무형문화재진흥법은 무형문화재의 정의 규정을 두고, 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통하여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고 인류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법은 무형문화재의 보전 및 전형은 “전형 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무형문화재 전승자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문화재보호법의 “원형 유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점이다. 특히 무형문화재의 진흥을 위한 상세한 규정을 신설하고 있어 이 법의 본격적인 시행 여부에 따라 무형문화재의 보호와 육성에 커다란 변화가 예상된다.
    그러나 무형문화재진흥법 제25조 국가무형문화재의 보호와 육성에 관한 규정은 전수교육 경비 및 수당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과거 문화재보호법과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보유자 등에게 지급되는 전승지원금의 성격이 국고보조금임에도 불구하고 그 법적 근거는 미비하며, 전수 조사 등 사용 용도에 대한 엄격한 조사와 감독도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이 제도의 시행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에도 상호간의 온정적인 기류, 행정적 부담으로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편 전승자 등은 어려운 환경 하에서 부상의 위험을 감수하고 전수교육에 헌신하고 있는 측면도 있으므로 이들의 전수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전승자가 전수교육 과정에서 다치거나 질병 및 상해로 인해 원활한 전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무형문화재진흥법이 추구하는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국가는 이러한 전승자들이 치료비에 구애됨이 없이 전수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공영보험, 민영보험을 통해 보호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필요한 재원은 전승지원금의 사용 용도를 법률에 명기하고, 일정 기간 후에 인상되는 전승지원금의 증액분을 할당하여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용방법은 전승자 개인별로 복지 사용액을 정하고 “복지카드”로 지출되도록 한다면 사용처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투명한 전수교육 경비의 지출 및 전수 조사를 위해 기존 전승지원금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was enacted on March 27th in 2015 and will be implemented as of March 28th in 2016. At the same time, some regulation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under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ere either deleted or revis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is to defin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and promote cultural improvement of people b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creatively succeeded through protec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is law defines duties of successo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considering to maintain “Prototy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s a fundamental principle. This refers that the law made one step forward comparing “maintaining original type” i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t is expected that implementation of this law will bring a dramatic change into protec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law presents detail regulations for promo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 article No. 25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is mainly about the expense of education for transmission and subsidy but almost no difference can be found betwee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Even though transmission subsidy provided to holder is funded by government, legal basis is not sufficient and inspection and management on purpose of use are not conducted thoroughly. This issue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since the implementation but resolution has not been made due to moderate attitude between parties and administrative pressure. Environment of transmission needs to be improved for successors as they are devoting themselves in spite of the risk of getting injured The purpo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is not met if successor gets injured or smooth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due to disease or accident, Country needs to protect them with public insurance as well as private insurance so that they can commit themselves to education of transmission without being bounded by medical bill. Resources can be acquired by clearly stating the purpose of use in the law and allocating increased amount of transmission subsidy which is increased after certain period of time. Successors can limit the amount individually and spend it by using “Welfare card” to show the breakdown of expenses. Furthermore, existing transmission subsidy needs to be gradually expanded for expense control and investi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