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U 암호자산시장법(MiCA)에 관한 고찰 - 암호자산 규제법으로서의 포괄성과 그 한계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EU Regulation on Markets in Crypto Assets (MiCA) - Focusing on the Comprehensiveness of MiCA as Crypto Legal Framework and its Limitations -)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12
64P 미리보기
EU 암호자산시장법(MiCA)에 관한 고찰 - 암호자산 규제법으로서의 포괄성과 그 한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25권 / 4호 / 205 ~ 268페이지
    · 저자명 : 심인숙

    초록

    수년간의 입법과정을 거쳐 2023년 6월 드디어 유럽의 ‘암호자산 시장에 관한 법률’(Regulation(EU) 2023/1114 Markets in Crypto-Assets, 이하 “MiCA”라고 한다) 이 공포되어 2024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암호자산에 관한 포괄적인 맞춤형 단독 법률을 마련한 입법으로서 세계 최초의 사례라고 할 만하다. MiCA의 출현은 EU 시장에서의 영향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암호자산에 관한 입법 모델로서 다른 나라의 규제체계 구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에서는 MiCA가 모든 암호자산에 관한 모든 문제를 포섭할 수 있을 정도로 ‘포괄적’인지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지에 집중한다.
    MiCA는 총 9편(titles) 149조(articles)로 이루어진 본조문(enacting articles)과 119개 항목의 전문(recitals) 및 6개의 부속서(annexes)로 구성된, 249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법률이다. MiCA는 EU 법체계상 “법률(regulation)”로서, 개별 회원국의 입법조치 없이 MiCA가 발효되면 바로 구속력 가지고 회원국 전체에 대하여 직접 효력을 미친다. 즉 EU 전체에 동일한 법률이 적용되고, 그 집행은 개별 회원국별로, 그러나 개별 회원국의 인가 등의 혜택은 다시 전체 EU에 미치는(소위 “EU여권
    (EU Passport)”) 규제체계이다.
    MiCA는 EU 전체의 암호자산 시장을 하나의 시장(single market)으로 묶어서. 암호자산 관련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인가체계를 도입하고, 암호자산을 공모하거나 시장에 유통시키려는 행위에 대하여서도 공시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소위 스테이블코인에 해당하는 자산준거토큰이나 이머니토큰에 대하여는 엄격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였고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도 규정하는 등 EU내 암호자산 거래 전반을 규율하는 체계를 제시한 방대한 법률이다. 기본적으로 업계와 시장이 친숙한 기존 금융규제법령 체계(MiFID II)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아직은 미숙한 단계에 있는 암호자산시장의 현실과 디지털 특성을 감안하여 기존 체계를 그대로 적용하지는 아니하고 규제 대상에 따라 ‘포괄적인’ ‘맞춤형’ 입법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MiCA 시행 이전에 발행된 기존 일반암호자산이나 자산준거토큰 및 암호자산 서비스업자에 대하여서도 MiCA가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시간적 포괄성도 어느 정도 구현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MiCA는 암호자산 시장 참여자에 대한 행정규제법적 성격을 가지는 금융규제법으로서, 암호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권리의무관계에 관한 사법적 측면(도산법‧국제사법 포함)이나 자금세탁방지법제 측면 등은 그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아니하다는 점에서 그 포괄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금융규제법적 측면에서도 모든 암호자산에 대하여 MiCA가 망라적으로 적용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MiCA의 정의에 따른 암호자산이라 하더라도 기존 금융규제법령이 우선 적용되고 MiCA는 기존 규제체계가 적용되지 아니하는 암호자산에 관한 사각지대를 메우는 보완적 역할을 할 뿐이라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게다가 기존 금융관련법령의 적용대상인지 아니면 MiCA 적용대상인지의 분류기준은 여전히 모호하다. 또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등도 적용대상이 아니고, 게다가 NFT, De-Fi 등 최신 기술 발전에 따른 영역은 대체로 MiCA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고 있어, MiCA의 포괄성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EU의회가 이러한 미흡한 점을 어떻게 보완할지, 또한 내년 6월말, 내년 말까지로 예정되어 있는 MiCA 시행을 위한 세부규정이 어떤 내용으로 입안될지, 향후 입법 진전 상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암호자산이 가지는 디지털 특성상 어느 한 나라만의 규제체계 도입으로는 그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세계적으로 각국에서의 암호자산 규제 체계 도입이 요망된다. MiCA가 그 첫발을 내디딘 것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다른 나라에서도 입법체계 정비와 국제적 공조가 긴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several years of intense legislative process, the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MiCA) were officially published in June 2023 and is due to take effect in 2024. MiCA, a landmark regulatory framework, is the first comprehensive and tailored regulatory framework for crypto assets among major jurisdictions. MiCA will have big impacts beyond EU and serve as a benchmark model for other legislators across globe.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the scope of MiCA, i. e. whether it is ‘comprehensive’ enough to apply to any crypto assets in any circumstances or there exist clear or inherent limitations therein.
    MiCA consists of 9 titles and 149 enacting articles including 119 recitals and 6 annexes. Adopted under the form of a European Regulation rather than a Directive, MiCA will be directly applicable to all EU Member States without the need for legislation at a Member State level. Crypto-industry and market in EU will be subject to a single law at EU level(MiCA), but will be generally subject to the enforcement by a competent authority in a Member State, and then will benefit from the result of such enforcement throughout the entire EU Member States by way of so called “EU Passport”).
    MiCA, encompassing the EU crypto market as a single market, introduces (i)an authorization system for crypto assets service providers, (ii)a disclosure system for a person to make a public offer or to seek admission to trading of crypto assets, including a strict and unique set of authorization system for so called “stablecoins” as defined under MiCA as “asset referenced token” and “e-money token”, and (iii) market abuse rules. It is based upon existing EU financial rules such as MiFID II, but is also tailored to reflect yet underdeveloped stage of crypto market and to accommodate digital features thereof. Also MiCA provides for transitional provisions for issued and outstanding crypto assets and entities already providing crypto assets services in order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MiCA regime.
    However the comprehensiveness of MiCA has an inherent limitation because it is in essence an administrative law in financial area to govern crypto asset market participants, and as such it does not cover private law aspects, including insolvency law and private international law aspects, nor AML aspects of crypto assets.
    Even in terms of financial law aspect, MiCA is not designed to apply to any and all crypto assets as broadly defined under MiCA. First of all, MiCA is not applicable to crypto assets that are subject to existing EU financial rules, including financial instruments and the criteria for such exclusion still remain ambiguous. Also it is not applicable to the recently developed crypto areas including NFT and De-Fi as well as CBDC. So it might be assessed that the comprehensiveness of MiCA is considerably limited.
    Nonetheless she insists that it is worth keeping on eye to EU Parliament’s efforts to supplement such shortcomings and, as MiCA foresees a number of implementing measures at the EU level (such as ESMA) in 2024, waiting for the complete features of MiCA to come. Given the digital nature of crypto assets, cross-border enforcement and supervisory cooperation among multi jurisdictions are essential for effective regulation of crypto market participants. MiCA will be a starting point as a crypto regulatory framework for future legislation by other jurisdictions and we need to be prepared for the upcoming legislations in conformity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cluding MiC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