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법상계약의 활용을 위한 법적 기반의 검토 - 독일 연방행정절차법상 공법상계약과 그 활용을 중심으로 - (Review of the Legal Basis for the Use of Public Law Contract(öffentlich-rechtlicher Vertrag) under the German Federal Procedures Act(VwVfG) - Focusing on German Public Law Contracts and Their Use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5
28P 미리보기
공법상계약의 활용을 위한 법적 기반의 검토 - 독일 연방행정절차법상 공법상계약과 그 활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47권 / 2호 / 97 ~ 124페이지
    · 저자명 : 최승필

    초록

    행정기본법이 제정되면서 공법상계약의 법적근거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공법상계약의 명문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러나 현행 행정기본법령만으로는 실제 공법상계약을 활용하기에는 미흡하다.
    판례는 공법상계약에 대해 옴부즈만 공무원채용계약, 국가연구개발협약,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을 들고 있다. 그러나 조달계약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사법상계약으로 보고 있다. 무엇이 공법상계약인지 사법상계약인지를 가르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 개별사안별로 계약의 내용을 보아 정하는 수밖에 없다.
    고권적 지위에서 행해진 행위는 처분으로 판단한다. 통상 지방자치단체간 협약은 공법상계약으로 분류된다.
    독일 연방행정절차법(VwVfG) 제54조부터 제61조까지는 공법상계약을 규정하고 있다. 공법상계약은 법령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 그리고 행정행위를 대체하는 계약도 허용된다.
    계약의 종류에는 화해계약과 교환계약이 있으며, 양 유형의 제시는 공법상계약을 활용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조세행정은 원칙적으로 공법상계약이 허용되지않는다. 사회법전 제10편(SGB X)에 속한 급부행정은 공법상계약이 적용되는 주요 분야이다. 건설법전(BauG)상 건설 및 개발행위에 있어서도 공법상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계획의 수립은 공법상계약이 허용되지 않는다. 독일에서도 지방자치단체간 공법상계약은 빈번히 체결된다. 환경행정에서도 공법상계약은 활용될 수 있는데, 개발과 관련하여 연방자연환경보호법(BNatSchB)상자연환경의 보호조치, 연방토양보호법(BBodSchB)상 오염토양의 정화 또는 폐기물의 처리 비용의 부담이 그 주된 대상이다.
    행정기본법상 공법상계약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도입되었지만, 아직 활용면에서는 충분하지 않으며, 법체계와 도그마 이외에 활용분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독일에서의 활용사례는 향후연구에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fact that the legal basis for public law contract was created with the enactment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tipulation of public law contract. However,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lone is not enough to utilize public law contract in practice. For public law contract, the precedents cite ombudsman public servant employment contracts,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greements, and concession agreements under the Act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 However, procurement contracts are consistently viewed as private law contracts. There is no clear criterion for determining what is a public law contract and a private law contract. It has to be decided on a case-by-case basis by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Usually, agreemen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re classified as public law contract.
    Articles 54 to 61 of the German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Verwaltungsverfahrensgesetz, VwVfG) stipulate public law contract. public law contract are permissible within the scope of not contradicting the law. And contracts replacing administrative acts are also permitted. There are two types of contracts: conciliation contracts(Vergleichsvertrag) and exchange contracts(Austauschvertrag), and the presentation of both types is useful for utilizing public law contracts.
    However, this does not apply to all areas, and public law contract are not allowed in tax administration under the tax act(Abgabenordnung) in principle. Th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which belongs to Title 10 of the Social Code(SGB X), is the main field where public law contracts are applied.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under the Construction Act(BauG) may also conclude public law contracts.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 plan isnot permitted under the Construction Act. In Germany, public law contra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re frequently concluded. Public law contracts can also be used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their main targets are prote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Protection Act(BNatSchB),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BBodSchB), or burden of waste treatment costs in relation to development.
    Although explicit provisions on public law contract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t is not yet sufficient in terms of utilization, and research on application areas other than legal system and dogma is insufficient. The use case in Germany can be a clue for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