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처분에 대한 행정법적 통제 -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관점에서 - (Administrative Legal Control over the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Public Law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6
42P 미리보기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처분에 대한 행정법적 통제 -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관점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28권 / 1호 / 3 ~ 44페이지
    · 저자명 : 최승훈

    초록

    최근 인구의 고령화와 요양급여비용의 지출 확대 등으로 인해 급여비용 부당청구에 관한 분쟁이 증가하고 그 양상 또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재정의 건전성을 위한다는 명목 아래 최대한 급여비용을 징수하는 방향으로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처분을 적극 발령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과잉징수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법치행정의 원리에 부합하는 징수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행정법적 통제가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의료자원의 공동이용 사례에서 요양급여비용 전액 징수처분의 위법성을 인정한 대상판결을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그 행정법적 통제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조명하였다.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행정의 법률적합성 원칙으로부터 도출되는 공법상의 독자적인 제도로서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처분은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부당이득징수의 사유와 범위에 관한 해석에서 행정의 법률적합성 원칙이 중추를 이루게 되고, 구체적인 사안에서는 여러 개별법령 중 급부의 합법성과 위법성을 가리는 기준이 되는 법령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대상판결에서는 부당이득징수의 사유와 관련하여 그 기준이 되는 법령을 ‘국민건강보험법령 및 법규적 효력이 있는 그 하위 규정들’이라는 취지로 정당하게 판시하였다. 나아가 부당이득징수의 범위와 관련하여 위 법령에 위반된 범위 내의 요양급여비용만을 적법한 징수대상으로 보고 이를 벗어나 다른 법령의 위반과 관계된 징수 부분의 위법성을 인정하였다. 이와 같이 대상판결은 행정의 법률적합성 원칙에 부합하도록 공법상 부당이득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처분에서 논란이 되어 온 과잉징수 문제에 대한 행정법적 통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disputes regarding unjustified claims for healthcare benefits cost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consequent rise in expenditures on such benefits. In respons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has actively pursued the collections of unjust enrichment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iming to protect the financial stability of healthcare. However, this initiative has raised concerns about excessive collec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administrative legal control to ensure that the collection process adheres to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This article conducts an analysis of a recent judgment by the Supreme Court, which recognized the illegality of collecting the entire costs of healthcare benefits in a case involving the mutual use of medical facilities. It examines this judg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public law, providing insight into the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administrative legal control.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public law is an independent institution within public law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legality of administration. Considering that the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poss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public law, the principle of legality of administration plays a pivotal role in interpreting the grounds and extent of the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In specific cases, it becomes crucial to identify the statutes that serve a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legality or illegality of benefits among various statutes.
    In the judgment, the Supreme Court properly concluded tha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nd its subordinate regulations, possessing the force of law, constitut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legality of benefits. Additionally, the court established clear boundaries for unjust enrichment, specifically focusing on healthcare benefits costs that fell within the scope of violations under the aforementioned laws. Furthermore, the court acknowledged the illegality of collecting healthcare benefits costs that contravened other laws. Thus, by delineating the scope of unjust enrichment under public law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of administration, this judgment effectively exercised administrative legal control over the issue of excessive collection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