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무조사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와 시사점 — 세무조사 녹음권과 행정조사기본법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Law Review of Tax Investigation System and Implications — Focusing on Recording Right of the Tax Investigation and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3
25P 미리보기
세무조사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와 시사점 — 세무조사 녹음권과 행정조사기본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70호 / 117 ~ 141페이지
    · 저자명 : 서보국

    초록

    세무조사는 행정법상 권력적 사실행위로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자체를 다툴 것인지 또는 과세처분의 절차하자로 다툴 것인지에 대해 판례는 후자를 택하고 있다. 그 외에 공법상 쟁점으로 그 전단계인 세무조사결정을 처분으로 인정할 것인지 논란이 되었으나 판례는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세무조사에 대한 공법적 검토의 쟁점으로 적법절차 원칙의 위반과 절차적 조세법률주의라는 관점을 기준으로 세무조사절차에서 과다한 과세관청의 재량과 해석의 여지를 문제 삼은 경우가 드물었으며, 납세자의 권리보호라는 관점에서 보완하고 있을 뿐이다.
    조세행정실무와 조세법학에서는 적법절차와 관련하여 중복조사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국세기본법에 중복조사금지를 명문화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세무조사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며, 현재까지 법원이 각 사건 별로 실질적으로 판단하고 있을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무조사에 대한 조세절차법적 규정과 제도를 미국과 영국 및 독일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그 시사점으로 우리나라의 세무조사제도에 비해서 단계별로 구체적인 규정들과 예외규정들이 훨씬 자세하게 구비되어 있다는 특징을 도출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문제점과 더불어 세무조사시 녹음권의 보장과 관련한 최근의 갈등을 소개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교법적 고찰을 시도한다. 미국과 대만의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충분한 절차법적 규정과 더불어 세무조사 녹음권도 구체적으로 보장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형사절차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세무조사 절차에서의 녹음권은 허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구나 행정조사에서 보장되고 있는 행정조사기본법의 규정들이 세무조사에 적용되지 않는 근거가 불명확하다는 점을 조명하고 있다. 행정조사기본법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행정법의 영역보다 조세행정의 영역에서 세무조사 녹음권이 납세자의 보호를 위해 더 보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행정조사기본법 제3조 제2항 제5호의 위헌성과 개정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영어초록

    Tax investigation is ‘hoheitliches Realakt’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and precedents choose the latter as to whether to fight the case itself or the tax procedure if there is a defect. In addition, as an issue in public law,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whether to recognize the tax investigation decision, which is the previous step, as a disposition, but the precedent recognizes it. However, until now, as an issue in the public law review of tax investigations, there have been few cases in which tax authorities' excessive discretion and room for interpretation have been raised as issues in tax investigation procedures based on the viewpoints of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and procedural tax legalism. It is only supplemented from the viewpoint of protecting the rights of taxpayers.
    In tax administration practice and tax law, the issue of overlapping investigations in relation to due process was intensively dealt with, and although the prohibition of overlapping investigations was stipulated in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here are still unresolved issues. The cause of these problems is that the concept of tax investigation is not clear, and so far, the courts have only made practical decisions on a case-by-case basis.
    In this paper, a comparative legal review of tax procedural legal regulations and systems for tax investigations in the US, UK, and Germany is attempted, and specific regulations and exceptions for each stage are much more detailed than Korea's tax investigation system. In addition to these general problems, recent conflicts related to the guarantee of recording rights during tax investigations are introduced, and comparative legal considerations are attempted to solve these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Taiwan, it is judged that the right to record in general tax investigation procedures, excluding criminal procedures, needs to be allowed given that the right to record tax investigation is specifically guaranteed along with sufficient procedural legal provisions.
    Moreover, it highlights the unclear basis on which the provisions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which are guaranteed i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do not apply to tax investigations. Article 3, Paragraph 2, Subparagraph 5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s unconstitutional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a need to ensure that the right to record tax investigation is more guaranteed for the protection of taxpayers in the area of ​​tax administration than in the area of ​​general administrative law, and the need for amend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