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허법상 손해배상 체계가 일반 사법상 손해배상 법리로부터 分岐하는 현실과 관련 법리 연구 - 특허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액 규정의 도입과 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al Issues and Diverging between existing Patent Act and the Damage Doctrine of the Civil Act -focused on the newly prescribed Punitive Damages and its Legal Problem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2.08
48P 미리보기
특허법상 손해배상 체계가 일반 사법상 손해배상 법리로부터 分岐하는 현실과 관련 법리 연구 - 특허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액 규정의 도입과 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IT와 법연구 / 25호 / 1 ~ 48페이지
    · 저자명 : 배대헌

    초록

    특허법 제128조 제8항에 신설한 징벌적 손해배상액 규정이 2018년 12월에 국회를 통과하였고, 2019년 7월 9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규정의 입법취지는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중소기업의 기술보호라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지만, 법리적 관점에서 일반사법의 손해배상법체계를 바꾸거나 혼란을 야기한다는 비판적 견해 또한 피할 수 없었다. 특허법에 신설한 징벌적 손해배상액 규정은 일반 사법상 손해배상 법리의 근간을 유지한 채 특허권이 가지는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체계상 민사법의 논의 연장이라는 점에서 다른 법률에서 규정한 동일한 명칭의 징벌적 손해배상액 또는 3배 배상액 규정과 구별된다. 이러한 징벌적 손해배상액 규정의 신설로 특허권침해에 따른 손해배상 논의가 종래 일반 사법상 손해배상 논의와 구별되는 논의를 전개한다면 현행 재산권침해에 따른 손해배상 법리로부터 나뉘어서 갈라지는[分岐하는] 법리적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연구는 특허법 제128조 제8항을 신설함으로써 특허법상 손해배상이 일반 사법상 손해배상체계로부터 멀어지거나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현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법리적 안목에서 파악하고, 특허법상 손해배상 논의가 어떤 법리적 기초와 적용방법을 찾아 나아가야 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특허법과 일반 사법상 손해배상법의 규범 체계론적 접근을 기반으로 특허법 제128조 제8항과 제9항에 규정한 내용을 법리·실무상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법률규정의 흠결 또는 징벌적 손해배상액 제도의 운용을 꾀하는 데 적합하게 규정하지 못하였던 점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해석론과 입법론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먼저 서론에서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을 서술하고(Ⅰ), 특허법 제128조에 규정한 손해배상과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의 법리적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Ⅱ), 특허법 제128조 제8항 및 제9항에 규정한 징벌적 손해배상액 규정의 입법적 흠결 또는 미완결의 규정내용을 해석하고 정비하는 데 필요한 법리적 검토를 수행하고(Ⅲ), 기왕에 마련한 특허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액 제도의 운용에 필요한 특허법 제128조 제8항-제9항에 관한 해석론과 입법론적 접근을 소개한다(Ⅳ).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정리하여 필자의 견해를 밝히고자 한다(Ⅴ).

    영어초록

    Article 128 (1) of the Patent Act reiterates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It clearly shows that a patent right is indistinguishable from other property rights in that it has general attributions of the property rights. However by accepting the punitive damages system especially to the Patent Act, it has been changing into a different way. The legal basis over the damage caused by patent infringement and its computation is very likely to moved away from the tort principle of the Civil Act.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divergence from the Civil Act.
    Through the revision in 2019, the punitive damages system was accepted in Article 128 (8) and (9) of the Patent Act,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is provision. At the center of this problems, it is an ambiguous legal text, that is “an infringement is · · · in the case recognized as intentional” stipulated in Article 128 (8) of the Patent Act.
    Whether or not a patent right is infringed is judged based on the scope of the patent right(the patent claims) by the All Elements Rule (AER). The patent infringement is the use of elements constituting another's patented invention as it is. In this case, most of the infringements are intentional infringements. Here, intentional patent infringement should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here. Even if there are several interpretations of the legal text, the punitive damages system has to be construed and applied only when the patent infringement is malicious or egregious, meaning ‘characteristic of a pirate’(in Halo Case) rather than simply speaking an intention.
    Also the problem was pointed out that the factors of consideration in Article 128 (9) of the Patent Act were stipulated as statutory considerations. Even the eight considerations are redundant or inappropriate in calculating the enhanced dama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a legislative solution that allows the court's discretion in examining the considerations and supplements the relevant prov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IT와 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