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태주의 법사상의 수용과 발전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Ecological Jurisprud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3
40P 미리보기
생태주의 법사상의 수용과 발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8권 / 1호 / 339 ~ 378페이지
    · 저자명 : 강재규

    초록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세계 각국은 수많은 환경법을 제정․시행해 왔으며, 그러한 법령들을위반해환경을훼손한자에대해서는각국에서운용되는소송제도를통해서환경법의입법목적과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그러한 환경법과 소송제도는 지구환경위기를 예방하거나 치유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 근저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문제가 있었다. 첫째, 인간중심주의 사상, 즉 인간은 자연 세계의 나머지와 다르며, 그보다더 우월하다는 믿음이다. 이러한 우월 의식으로 인해 우리는 인간이 진화의 정점에 있다고보았다. 그리고법체계도이러한사상에토대를두고있었다. 둘째, 생물과무생물을포함한자연의 모든 것이 우리의 재산이며 우리는 그것들을 마음대로 사용할 권리가 있다는 생각이다. 셋째, 현대사회의 지상과제로서 무제한의 경제성장을 추구할 수 있고,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인간중심주의 사상과 재산권은 현대 산업사회의 토대를 이루며, 법과 경제로부터 교육과 종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떠받쳐왔다. 개발로 얻은 이익은 환경보전으로얻는 이익보다 늘 우선에 두었다. 이상과 같은 관념의 형성에는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철학, 종교, 도덕, 윤리학 등 오랜역사 속에 뿌리를두고 있었다. 인간이다른 동물과 구별되고 그들보다 더 우월하다는 의식은 서구 법체계에 깊숙하게 스며들어 법과 실제의 괴리를 낳았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사고 아래서는 지구환경위기의 극복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서서히싹 트기 시작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인간중심주의 사고를 극복하고,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생태주의(자연주의) 사상이 대두되기에 이른다. 미국을 중심으로 논의된 자연의 권리운동이 그러한 사고의 전환을 야기시킨 출발점이 되었다. 물론 당시에는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에 토대를 둔 법과 제도 아래서 전개된 운동으로 한계는 여전했다.
    철학자존스튜어트밀이“모든위대한운동은조롱, 논의, 채택의세단계를거치게마련이다.”라고했듯, ‘자연의권리’도조롱과논의의단계를거쳐, 이제는명실공히채택의단계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첫 출발은 2008년에 에콰도르가 세계 최초로 헌법에‘자연의권리’를명시하였다. 필자도국내에서는선구적으로, “자연의권리소송”(2000), “환경법의 성격과 환경행정소송제도”(2005), “자연의 권리”(2008), “현행 행정소송제도의 재구성을위한시론적연구”(2010), 자연과인간의공생을위한환경사상(2001), 생태주의환경법(2002) 등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간한 바 있지만, 그 후 약 10여 년 만에 혁명적인 변화가 도래했다는데, 놀라움과 기쁨을 감추기 힘들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제1장 서론, 제2장 생태주의 사상의 태동, 제3장 생태주의를 수용한외국의법체계와판례, 제4장우리나라환경법속의생태주의사상에대해살펴보고, 제5장은 결론으로 구성했다.
    또한 이 논문은 이후 자연의 권리에 관한 세계적인 흐름을 읽고,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수행하려는학자들의후속연구에지침이될수있을것이다. 끝으로지금까지자연의권리의입법화를이룰수있는토대를마련한사상가들과학자들, 그리고자연의권리를쟁취하려고 노력해 온 세계 환경운동가들과 원주민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표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enacted and enforced many environmental laws so far,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ensure the legislative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laws through litigation systems operated in each country for those who damage the environment by violating such laws. However, such environmental laws and litigation systems had limitations in preventing or curing global environmental crises. At its root, the following structural problems were inherent. First, anthropocentrism, the widespread belief that humans are separate from and superior to the rest of the natural world. Because of this sense of superiority, we saw humans as at the pinnacle of evolution. Second, the idea that everything in nature, animate and inanimate, is our property and we have the right to use it as we please. Third, it is the idea that unlimited economic growth can and should be pursued as the foremost task of modern society. Anthropocentric ideas and property rights are the foundation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supporting everything from law and economics to education and religion. Economic growth has consistently taken precedence over environmental concerns as a primary goal for governments and businesses. The formation of such ideas was rooted in a long history of philosophy, religion, morality, and ethics from the ancient Greek times to the present. The consciousness that humans are distinct from other animals and superior to them has permeated deeply into the Western legal system, resulting in a gap between law and reality.
    However, under the above accident, the percep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gradually spreads. Entering the 20th century, anthropocentric thinking was overcome, and the idea of ecology (naturalism) that humans are part of nature came to the 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atural rights movement, which was discussed mainly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70s, was the starting point that caused such a change in thinking. Of course, at the time, the movement developed under the laws and systems based on the existing anthropocentrism, and the limitations were still there.
    Philosopher John Stuart Mill said, “All great movements go through three stages: ridicule, discussion, and adop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Nature’s Rights’ has also gone through a stage of ridicule and discussion, and has now entered the stage of adoption both in name and reality. The first step was that Ecuador was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state the ‘rights of nature’ in its constitution.
    I have published the following papers and books as pioneers in Korea : “Nature’s Rights Litigation”(2000), “The Nature of Environmental Law and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2005), “Nature’s Rights” (2008), “Theoretical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2010), “Environmental Ideals for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s”(2001), “Environmental Law on Ecology” (2002), etc.
    It is said that a revolutionary change has arrived in only 10 years after such a claim, and it is hard to hide surprise and joy.
    Therefore, in this thesi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The birth of ecological thought, Chapter 3 Foreign legal systems and precedents that have accepted ecologicalism, Chapter 4 reviewing the idea of ecology in Korea’s environmental laws, and Chapter 5 the conclusion composed of In addition, this thesis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future research by scholars who want to read the global trend on the rights of nature and conduct more in-depth research. Lastly,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the numerous thinkers and scholars wh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legislation of the rights of nature, as well as to the global environmental activists and indigenous peoples who have been striving to win the rights of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