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기 쉬운 형사법 용어 순화안 제시 (A Suggestion of the Alternative Easy Korean Legal Terms in the Codes of Korean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8.03
15P 미리보기
알기 쉬운 형사법 용어 순화안 제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8권 / 1호 / 143 ~ 157페이지
    · 저자명 : 윤종행

    초록

    백성에게 쉬운 글자를 만들어 주기 위한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의 목적과 그 높은 애민정신은 우리에게 아직도 큰 교훈을 주고 있다. 그런데 한글이 지구상에서 최고라는 찬사를 받는 매우 우수한 문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법률에서는 푸대접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신 난해한 한자어가 국민의 가슴을 짓누르고 ‘법(法)’이라는 높은 담을 바라만 보고 다가설 수 없게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일반인의 규범의식을 무디게 만들고 법질서에 대한 신뢰를 갖지 못하게 하는 하나의 중요한 이유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국민의 인권과 직결되는 형법과 형사소송법에 있어서 난해한 한자어로 표현된 법률용어를 일반인이 알기 쉬운 한글로 순화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형사법이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측면에서 볼 때는 아직도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잔존하고 있다. 참고로 북한의 경우를 보면, 사회주의국가 법률로서의 특수성이 있다는 점에서 우리와는 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용어의 면에서 매우 알기 쉬운 우리말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여겨진다.
    최근에 법제처에서는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를 위한 정비기준”을 간행하였고, 법원도서관에서도 “법원맞춤법자료집”을 발행하였다. 국립국어연구원, 법제연구원 등에서도 법률용어와 법률문장의 순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본고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형사법령용어 중에서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인 경우, 보통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어로서 보다 알기 쉬운 용어가 있는 경우, 일본식의 용어인 경우 등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쉽고 부드러운 좋은 용어가 따로 있음에도 난해하고 거친 어감을 주는 용어로 표현된 경우라든가 명백히 왜곡된 비민주적 표현의 용어는 하루 빨리 기본법과 관련법령의 개정으로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그와 같은 어색하고도 난해한 법률용어의 사용은 그간 오랜 세월을 통하여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온 것도 아닌, 충분한 민의를 반영한 것도 아닌 뼈아픈 역사의 반영으로서 일반인의 마음으로부터 법치주의와 법질서가 멀고도 높게만 자리 잡아 오게 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또한 형법과 형사소송법의 문자를 가급적 한자가 아닌 한글로 표기하고 오해의 소지나 의미전달이 잘 안 되는 예외적인 경우만 한글과 한자를 병기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어초록

    Hangeul was created under King Sej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n 1446, it was proclaimed under the name Hunminjeongeum, which literally meant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It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alphabets in the world and has garnered unanimous praise from language experts for its scientific design and excellence.
    However, Korean codes are too difficult to read and understand for the common people in Korea, since they are written in Chinese Korean. It could be said that this problem is owing to the short history of modern western law in Korea and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ruling during Chosun Dynasty. Therefore, most Korean codes should be transformed to the form that is easy to read and understand for the common folks.
    In this paper, alternative legal terms related to the Korean Criminal Law Code and Criminal Procedure are suggested, which is for the purpose of revival of the spirit of love for the people of King Sejong and his being ready to listen to the voices of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