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법상 법인격 없는 단체의 고찰 (A Study on the Non-Juristic Organization in Tax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6.12
38P 미리보기
세법상 법인격 없는 단체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38호 / 85 ~ 122페이지
    · 저자명 : 이중교

    초록

    민사법에서는 법인격 없는 단체가 법인의 실체를 가지고 사회경제적으로 법인과 마찬가지로 활동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대체로 법인에 준하여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세법에서는 법인격 없는 단체를 세법이 정한 요건에 따라 ① 의제법인, ②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 ③ 공동사업 등 3가지로 취급하고 있다. 이 중 어느 것으로 분류되는지에 따라 법인세를 부담하는지 또는 소득세를 부담하는지의 기본적인 차이가 생기고, 그 밖에 상속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등의 적용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이 글은 위와 같은 세법상 법인격 없는 단체의 분류가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은 법인의 실체를 가지고 있는 단체를 개인, 즉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로 취급하는 것이다. 법인격 없는 단체를 개인으로 취급하는 것은 개인 간의 수직적 공평성을 추구하는 소득세법의 체계와 이념에 어울리지 않는다.
    따라서 소득과세에서는 법인격 없는 단체를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로 취급하는 것을 배제하고 ① 의제법인, ② 공동사업과 같이 이원적(二元的)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일본의 입법례와 같이 법인격 없는 단체가 구성원에게 이익을 분배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오로지 법인으로만 취급하여 일원화(一元化)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세법이 법인격 없는 단체를 비영리법인으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구성원에게 이익을 분배하는 영리단체는 법인이 아니라 공동사업으로 보는 것이 논리적이고 체계정합성에도 부합한다. 특히 영리단체를 공동사업으로 보게 되면 단체 단계에서 과세하지 않고 구성원 단계에서만 소득세를 과세하기 때문에 이중과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속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등의 과세는 소득과세와는 다른 원리가 적용되므로 법인격 없는 단체가 구성원에게 이익을 분배하는 경우에도 법인격 없는 단체가 구성원들과는 독립된 실체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중시하여 법인격 없는 단체 그 자체를 상속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등의 납세의무자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Under the civil law, a non-juristic organization is generally treated as a quasi-corporation on the ground that it has a corporate entity and works like a corporation from a socio-economic perspective. Under the tax law, by contrast, it is treated as either a corporation, a resident, or a joint undertaking, under the requirements of the tax law. Depending on how a non-juristic organization is categorized, the non-juristic organization would be liable for either corporate tax or income tax. The categorization would also differentiate the application of such other taxes as inheritance tax, gift tax, and value-added tax.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with such classification of a non-juristic organization under the tax law, and to propose ways of improvement.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lies in the treatment of a non-juristic organization equipped with a corporate entity as an individual, namely, as either a resident or non-resident. To do so is not in harmony with the system and idea of the Income Tax Act, which aspires for a vertical equity between individuals.
    In taxation of incom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ceptualize non-juristic organization in a dualistic framework of either a corporation or joint undertaking, instead of treating it as either a resident or non-resident. Another option worth considering is to follow the Japanese legislative example, which takes a unitary approach to treat a non-juristic organization solely as a corporation, without regard to whether it distributes profits to its constituent members. However, this would not be consistent with Korean tax law, which confines non-juristic organizations to non-profit corporations. As such, it would be more logical and consistent with Korean tax system to treat any non-juristic organization that distributes profits to its constituent members as a joint undertaking, not a corporation. In particular, deeming profit organizations to be joint undertakings has another advantage of resolving double taxation, as it would have the income tax imposed only at the membership-level, without taxing at the organization-level.
    Meanwhile, such other taxes as inheritance tax, gift tax, and value-added tax are driven by different principles than income taxation. It is reasonable to stipulate the non-juristic organization itself as the payer of inheritance, gift, and value-added taxes, by focusing on the non-juristic organization’s identity as an entity independent of its constituent members, even when it distributes profits to its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