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습법과 규범통제 - 관습법에 관한 헌법재판소결정과 대법원판결의 정당성을 중심으로 - (Gewohnheitsrecht und Normenkontrol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02
29P 미리보기
관습법과 규범통제 - 관습법에 관한 헌법재판소결정과 대법원판결의 정당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0권 / 1호 / 161 ~ 189페이지
    · 저자명 : 허완중

    초록

    관습법은 수범자인 국민 스스로 만든 법규범으로서 법공동체 안에서 일반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반복된 사실적 관행이 법적 확신을 획득함으로써 성립하는 불문법이다. 관습법은 성문법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인정된다. 관습법은 법규범이지만, 사법작용은 법정립이 아니라 법발견이므로 법관법은 법규범이 아니다. 따라서 양자는 구별된다. 헌법은 관습법에 법률의 효력을 부여하지 않고, 관습법은 법률을 대체하거나 폐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보충할 뿐이다. 그러나 관습법은 국회가 제정하는 법률처럼 국민의 의사이며, 관습법은 개별법적 측면에서 법원으로 인정된다(민법 제1조, 상법 제1조). 이러한 규정들이 법률 이외에 하위법규범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규정들은 법률의 규범서열을 규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관습법은 법률이 규율하지 않는 범위에서 명령이나 규칙이 규율할 수 없는 법률의 규율대상도 규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습법을 하위법규범이 개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법률의 규범서열이 있는 관습법은 법률우위의 측면에서나 법률유보의 측면에서 옹근 법률과 같은 효력은 아니지만 그에 근접하는 법률유사적 효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에 의해서 성립되고, 적용범위가 지방자치단체의 관할영역에 국한되는 지역적 관습법은 그 성립주체와 효력범위에 비추어 조례와 같은 법단계에 있고, 조례유사적 효력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규범통제권한을 헌법재판소와 법원에 2원적으로 나누어 부여하는 헌법 제107조 제1항과 제2항에 비추어 법률의 규범서열이 있는 관습법에 대한 규범통제는 헌법재판소가, 조례의 규범서열이 있는 관습법에 대한 규범통제는 일반법원이 각각 담당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관습법은 모든 법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관습법이 헌법사항을 규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습법은 실질적 헌법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이러한 관습법이 헌법의 효력이 있다는 것을 말하지는 않는다. 헌법이 규율할 사항은 고유한 전통과 구성원의 합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헌법의 효력을 부여하는 사항은 인정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헌법의 효력이 있는 법규범의 내용은 오로지 헌법전에서 도출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헌법전에서 도출되지 않는 사항을 규율하는 관습법은 헌법의 효력을 가질 수 없고, 따라서 관습헌법은 법률에 대한 규범통제의 심사기준이 될 수 없다.

    영어초록

    Gewohnheitsrecht ist ungeschriebenes Recht, das von den Rechtsbeteiligten selbst realisiert wird, indem sie eine langdauernde tatsächliche allgemeine Übung in der Rechtsgemeinschaft mit der Rechtsüberzeugung verknüpfen. Es ist Teil des positiven Rechts und kann auf vielfältigen Rechtsgebieten entstehen. Gewohnheitsrecht ist eine Rechtsnorm. Folglich unterschiedet es sich von dem Richterrecht, weil die richterliche Tätigkeit nicht Rechtssetzung, sondern Rechtsfindung ist, so dass das Richterrecht keine Rechtsnorm ist. Die Verfassung gibt dem Gewohnheitsrecht keine gesetzliche Wirkung. Dazu kann das Gewohnheitsrecht das Gesetz nicht ersetzen oder aufheben, sondern nur ergänzen. Aber das Gewohnheitsrecht ist die Willensäußerung der Bürger wie das durch den Gesetzgeber erlassene Gesetz. Auch die Rechtsquellenqualität des Gewohnheitsrechts wird einfachgesetzlich anerkannt (Art. 1 KBGB, Art. 1 KHGB). Dabei kann anerkannt werden, dass diese Vorschriften die Rechtquelle mit gesetzlichem Rang regeln, weil keine untergeordnete Norm außer dem Gesetz in diesen Vorschriften erwähnt wird. Zudem kann das Gewohnheitsrecht insoweit fast alle gesetzlichen Regelungsgegenstände regeln, als die Gesetze sie nicht regeln. Folglich hat das Gewohnheitsrecht eine gesetzähnliche Wirkung. Allgemeine Gerichte können nur überprüfen, ob eine Rechtsverordnung, eine Satzung oder ein Verwaltungsakt verfassungswidrig oder gesetzwidrig ist (Art. 107 Abs. 2 KV). Deshalb muss die Verfassungswidrigkeit des Gewohnheitsrechts nicht durch allgemeine Gerichte, sondern durch das Verfassungsgericht überprüft werden. Gewohnheitsrecht kann sich auf das Verfassungsrecht beziehen, weil es im allen Rechtsgebieten entstehen kann. In diesem Punkt kann ungeschriebenes Verfassungsrecht als Verfassungsrecht im materiellen Sinne anerkannt werden. D.h., die Unvollständigkeit der Verfassungsurkunde kann durch das Gewohnheitsrecht ergänzt werden. Aber Gegenstände, die das geschriebene Verfassungsrecht regeln muss, werden nur durch die Einigung des Staatsbürgers als Souverän und die eigene staatliche Tradition bestimmt. Folglich bedarf es keiner verfassungsrechtlichen Regelung aller verfassungsrechtlichen Regelungsgegenstände und absolute verfassungsrechtliche Regelungsgegenstände können nicht vorhanden sein. In diesem Punkt ist der einzige Maßstab, der die vor anderen Normen vorrangigen Normen feststellt, nichts anders als die Verfassungsurkunde. Deswegen kann nur das geschriebene Verfassungsrecht den Rang der Verfassung haben, aber das Gewohnheitsrecht kann keinen Rang der Verfassung haben, dessen Inhalt die Verfassungsurkunde nicht hat. Dabei bedeutet das geschriebene Verfassungsrecht wegen der Besonderheit der Verfassungsinterpretation nicht die einfache Summierung von einzelnen Bestimmungen der Verfassungsurkunde. Das geschriebene Verfassungsrecht enthält alle Norminhalte, die sich unmittelbar aus der Verfassungsurkunde ableiten lass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