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성화를 위한 법의 후견적 역할과 시사점 (The Role of Law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10
25P 미리보기
-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성화를 위한 법의 후견적 역할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4권 / 1호 / 493 ~ 517페이지
    · 저자명 : 안정민

    초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기대감이 어느 때 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지만 법학계에서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는 최근에 와서 시작되고 있다.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이를 지탱해줄 사회 발전과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법적 영역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가나 법의 역할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민의 기대와 법적 영역으로의 확산은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윤추구에 있고, 사회적 책임은 부차적인 것”이라는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우리나라 같이 ‘기업은 이윤추구’라는 전통적 기업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법으로 규정하여 이윤추구라는 틀을 극복하고 기업시민으로서의 책임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도록 촉진하는 법의 후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는 법적 영역으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선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이 가장 먼저 등장하고 구체화된 미국에서의 논의를 연혁적으로 살펴보았다. 미국은 중국이나 유럽연합과는 달리 비록 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명문화하여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미국 내 사회적 책임의 형성과정은 모든 국가에서 논의하고 있는 CSR의 시초라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국과 유럽연합의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적 대안 마련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should be business-driven and strictly voluntary and the role of law is to set minimum standards of what must be done. But multitude of laws and regulations to imple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many countries have challenged these concept forcing companies to change there CSR practices.
    The European Parliament passed a law which requires all publicly traded companie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to provide information concerning their human rights impact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ti-corruption measures, and diversity programs every year. The government of India implemented ne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uidelines requiring companies to spend 2% of their net profit on social development. The worldwid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have also emerged in China bringing new laws and regulations, government guidelines on CSR.
    Enhanc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come a major objective of authorities around the world, yet it is still a relatively new topic in Korea. Most of CSR discussion in Korea has been accelerated only by the media while the government remains largely content to observe. Until now, there has been significant opposition to the idea of strengthening government role or legislation on CSR.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one important role of the law is to illuminate the common value of society worth for all and by implementing government-led CSR policy we can foster nationwide adoption of CSR practices. To support this argument, the paper analyzes h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evolved in the United States and how it became a priority issue on EU and the Chinese government's agenda. It highlights how governments’ role have affected the framework of CSR policies in those countries and what legal measures have been placed. The paper also suggests that introducing laws on CSR could steer Korea to the path to an effective development of CSR initi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