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종사건 대응절차 개선을 위한 비교법적 기초연구- 영미법계 국가의 대응절차를 중심으로 - (A Basic Research on Comparative Law for Improving the Response Procedure for Missing Cases -Focusing on the countermeasures of the British and American law countri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실종사건 대응절차 개선을 위한 비교법적 기초연구- 영미법계 국가의 대응절차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0권 / 2호 / 475 ~ 501페이지
    · 저자명 : 이건수, 이권철

    초록

    실종사건이 계속 증대되고 있으며, 실종정책에 대한 여러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종자의 범위에 대한 논의, 실종사건 전담 수사기관의 배정에 대한 논란, 실종사건의 위험성 판단기준 및 절차의 수립 등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모습이 사라지는 현상은 소위 증발이나 전쟁 중 혹은 자연재해로의 행방불명 등 결코 드문 일은 아니다. 그러나 강제실종이라는 것은 조약에도 나타나 있듯이 같은 ‘사람이 사라지는’ 사건이라도 정부가 직간접으로 관여하여 어떤 인간을 납치해 그 후의 소식을 파악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강제실종에 대해서 우리들은 일본과 북한의 관계만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미 국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그 현대적 기원은 1941년 12월 7일에 나치 독일이 내린 ‘밤과 안개령’(독일의 안전보장을 위협하는 자를 점령지역에서 비밀리에 독일로 이송하고, 흔적을 없애고, 소재정보는 밝히지 않은 것을 말한다.)이라고 되어 있다. 1960년대에 과테말라 치안부대가 그것을 채용하고, 1970년대에는 아르헨티나나 칠레 등 라틴 아메리카의 군사독재정권 국가들로 확대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라졌다. 게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도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그리고 동아시아에서도 사례가 확인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실종문제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 다른 국가들은 어떤 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비교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먼저, 실종의 실태 혹은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우리의 실종 대응체계에 대한 비판 혹은 우려의 내용을 검토한다. 이후 비교법적 분석을 영미법체계를 지니고 있는 국가, 즉 영국, 미국, 호주 및 캐나다의 제도들에 제한하여 살펴본다. 다만, 국가별로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사안별 즉, 실종의 개념 혹은 실종자의 범위에 대한 각 국가의 입장, 실종에 대한 대응체계에 있어서 특수한 기관의 역할, 실종사건 위험성 판단의 기준 및 절차 등 각 이슈별로 비교하며 분석하는 방법으로 고찰해 본다. 특히 제Ⅳ장에서는 실종사건에 관한 국제사회의 대응으로서 조약에 의한 대응을 살펴보기로 한다.

    영어초록

    The disappearances continue to increase, and several criticisms of the disappearance policy have been raised. Criticisms have arisen about the scope of the missing persons, the controversy over the allocatio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dedicated to the disappear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riteria and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risk of missing persons. This phenomenon of disappearing human form is not uncommon, such as the so-called evaporation, war, or the disappearance of natural disasters. However, forced disappearance means that even in the same ‘person disappearing’ case, as the treaty shows, the government directly or indirectly kidnaps a human being and is unable to grasp the future news. It is easy to think of Japan’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lone, but it has already become an international issue. The modern origin is said to be the “Night and Mist Spirit” issued by Nazi Germany on December 7, 1941. It means that a person who threatens the security of Germany is transferred secretly from the occupied area to Germany, the trace is removed,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is not disclosed. In the 1960s, Guatemalan security forces adopted it, and in the 1970s it expanded to Latin American military dictatorships such as Argentina and Chile, and many people disappeared. In addition, cases were identified in Asia, Africa, Europe, and East Asia in the 1980s.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what systems other countries have about concerns about the disappearance, and to suggest sugges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o do this, we first look at the current state or status of the disappearance, and then review the content of criticism or concerns about our missing response system. Later, the comparative legal analysis will be limited to those in countries with British and American legal systems, that i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However, rather than looking at each country, each issue, such as the concept of disappearance or the position of each country on the scope of the missing person, the role of special agencies in the response system to disappearanc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judging the risk of disappearance, etc. Consid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Particularly, in Chapter IV, the response by the treaty will be examined as the response of the relief society to the disappear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