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정폭력처벌법에 대한 스토킹처벌법의 시사점과 한계 – 경찰관의 대응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to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 Focusing on the response of police offic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2.04
26P 미리보기
가정폭력처벌법에 대한 스토킹처벌법의 시사점과 한계 – 경찰관의 대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法學論文集 / 46권 / 1호 / 115 ~ 140페이지
    · 저자명 : 소병도

    초록

    경찰관은 중범죄로 이어지기도 하는 가정폭력 사건에 적극 개입하여 범죄를 예방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가정폭력처벌법은 스토킹처벌법과 비교하여 경찰관의 개입 시점과 범위에 제약을 두고 있다.
    가정폭력처벌법의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의 요건이 가정폭력 ‘범죄’의 발생인 것과 달리 스토킹처벌법의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의 요건은 스토킹 ‘행위’의 발생이라 사건 초기에 경찰관이 개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정폭력처벌법이 긴급임시조치 실행 전 응급조치의 선행을 요구하지만 스토킹처벌법은 긴급응급조치 실행 전 응급조치를 요구하지 않아 경찰관이 비교적 신속하게, 양 조치를 동시 또는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가정폭력처벌법이 피해자보호명령의 요청 주체에서 경찰관을 제외하고 있으나 스토킹처벌법은 잠정조치의 청구 주체는 검사로 두면서도 경찰관이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경찰의 피해자 보호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였다.
    가정폭력처벌법상 경찰관의 사건 개입의 시간적·절차적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스토킹처벌법이 스토킹행위를 규정한 것처럼 가정폭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위험관리의 대상으로 두어야 한다. 나아가 스토킹처벌법상 범죄가 아닌 스토킹행위에 대해서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가 가능한 것처럼 가정폭력처벌법도 가정폭력에 대해서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스토킹처벌법이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의 선후관계를 규정하지 않은 것처럼 가정폭력처벌법도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의 선후관계 규정을 삭제하여야 한다. 또한 스토킹처벌법이 잠정조치의 경찰관 신청권을 인정하는 것처럼 가정폭력처벌법도 피해자보호명령의 경찰관 신청권을 인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토킹처벌법은 가정폭력처벌법이 실질은 행정경찰 작용인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를 사법경찰 영역에 둔 오류를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 규정에서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리조치들을 행정경찰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실행의 주체를 경찰관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분리조치를 위반한 경우는 사법경찰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위반 시 과태료 처분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 이행강제 수단을 확보하기 위해 형사적 범죄로 두고 체포의 특례를 인정하여 강제력을 통한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행위와 범죄를 구분하고 범죄에 대해서만 경찰관의 개입을 인정하는 태도는 가정폭력처벌법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은 ‘범죄’에 비해 ‘학대’ 행위를 추상적으로 정의하고 구체적인 위험관리 규정을 충분히 두고 있지 않은데 이 연구의 논의를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olice officers are obligated to actively intervene in domestic violence cases that could lead to serious crimes. Howev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restricts the timing and scope of police officers' interventions compared to the Stalking Punishment Act.
    Unlike und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in which a “domestic violence crime” must first occur in order for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to be implemented, under the Stalking Punishment Act,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can be executed as soon as “stalking behavior,” not necessarily a crime, occurs, so police officers can intervene earlier. Also unlike und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where emergency measures must be put in place before urgent temporary measures are implemented, the Stalking Punishment Act allows urgent emergency measures to be implemented immediately, so police officers can quickly execute them and can execute them simultaneously with emergency measures. Additionally, while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does not allow a police officer to apply for a victim protection order, the Stalking Punishment Act not only grants the prosecutor the right to request a provisional measure, it also gives the police officer the right to apply for one, so that the police officer’s opinions can be communicated to the court.
    In order to expand the flexibility in terms of timing and procedure for police officers to intervene in domestic violence cases,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specifically stipulate "domestic violence" as an action that should be subject to risk management. This would parallel the Stalking Punishment Act, which specifically stipulates "stalking behavior" as an action that should be subject to risk management. Additionally, just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enables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for "stalking behavio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also enable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for "domestic violence."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also eliminate the priority relationship between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just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does not stipulate a priority relationship between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Finally, just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allows police officers to apply for provisional measures,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must also allow police officers to apply for victim protection orders.
    Although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are elements of administrative police action,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errs by stipulating that these measures are elements of judicial police action. Similarly, the Stalking Punishment Act also errs by stipulating that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belong to judicial police action. These separation measures should be recognized as elements of administrative police action, and the party authorized to request them should be revised from "judicial police officer" to "police officer." Conversely, a violation of these separation measures must be recognized as falling under the authority of the judicial police and must be defined as a crime rather than being punished only by a fine for negligence. The perpetrator must be subject to arrest and victims and perpetrators should be separated in order to enforce the separation measures.
    The issue of distinguishing between “behaviors” and “crimes” and allowing police officers to intervene only in “crimes” is not only an issue und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the Elderly Welfare Act, and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also abstractly define “abuse” and do not have sufficient regulations to manage the risk of “abuse.” By apply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o these other laws, plans for improvement can be ma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