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길장 이제설의 중층적 특성- 헤겔 변증법 형식과 열린 변증법적 함의를 중심으로 - (The Layered Characteristics of Jizang’s Two Truths Theory: Focusing on Hegelian Dialectical Form and Open Dialectical Implication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길장 이제설의 중층적 특성- 헤겔 변증법 형식과 열린 변증법적 함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1호 / 61 ~ 87페이지
    · 저자명 : 김태수

    초록

    길장(吉藏, 549~623)의 3중이제설은 용수의 부정논법과 달리, 불일(不一)보다는 불이(不二)와 상즉을 강조하는 긍정 논법이며, 외형적으로 상위 단계로 무한히 상승 가능한 헤겔 변증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구도에서 보면, 길장이 후에 추가한 4중이제의 진제인 언망여절(言忘慮絶)은 중층 구조의 최종 단계인 즉자․대자로서, 전체적으로는 닫힌 변증법의 형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내용상 4중이제는 특정 단계의 진제에 집착하는 극단을 경계하고 파사(破邪)하려는 무득정관(無得正觀)의 정신을 갖기에 동일자의 운동에 기반한 즉자․대자와는 달리 방편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언설(사구)의 끝을 논함으로써 이치의 끝을 밝히려 한다.”라는 길장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언어에 집착하는 한 이러한 상승은 계속될 수 있기에 언어가 끝난 불가설(不可說)의 영역이야말로 모든 진리와 가르침을 포섭할 수 있는 바탕’이라는 균열점(Riss)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가르침과 이치의 불일불이성을 전제로, 3중·4중이제의 가르침의 끝과 이치의 끝(언망여절) 간의 불일불이로서 부정과 긍정, 문제(이치)와 해(가르침)가 교화 대상의 조건과 맥락, 관점에 따라 연계적으로 상즉(相卽) 하는 방식이다. 이 점에서 보면, 용수의 취지와 크게 다르지 않은 내포를 지니게 된다. 결과적으로, 닫힌 변증법의 외형에도 불구하고 내용상으로 열린 변증법적 함의를 가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triple two truths theory of Jizang (吉藏, 549~623), unlike the negative logic of Nāgārjuna, is a positive logic that emphasizes ‘not-two (不二)’ and ‘mutual-identity (相卽)’ over ‘not-one (不一)’, and possesses the appearance of Hegelian dialectics, as it allows for an infinite ascension to higher levels in its form. From this perspective, “Forgetting Words and Cutting off Thoughts (言忘慮絶),” the ultimate truth of the fourfold two truths, later added by Jizang, can be seen as the final stage of the dual-layered structure, namely ‘in and for itself (an und für sich)’. Overall, this demonstrates the form of a closed dialectic.
    However, as long as the fourfold two truths retain the spirit of the correct observation of nonapprehension, which guards against any extremes by refuting falsehood attached to the truth of a particular stage in content, it can be considered a provisional measure, unlike the ‘in and for itself’ grounded in the movement of the identity. Particularly, as reflected in Jizang’s statement, “By discussing the end of the words (tetralemma), we aim to elucidate the end of the principle,” it appears to be presented as a a rupture point (Riss), suggesting the realm of the inexpressible, where language ends, as such ascension can continue as long as one is attached to language, is the foundation capable of encompassing all truths and teachings. By assuming the non-duality of the teachings and the principle, Jizang’s approach operates on the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between the end of the teachings of the threefold/fourfold truths and the end of principles (Forgetting Words and Cutting off Thoughts) in the fourfold truth. Thereby, this approach mutually integrates negations with affirmations, and problems (principles) with solutions (teachings) in a correlative manner, depending on the conditions, context and viewpoints of the teaching targets. Hence, it carries implicatio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āgārjuna's intention. Therefore, despite the form of a closed dialectic, it can be assessed as embodying the implications of an open dialectic in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