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중 탈북자와 국제난민법 (North Korean Defecter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International Refugee Law)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2.04
25P 미리보기
재중 탈북자와 국제난민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19권 / 1호 / 35 ~ 59페이지
    · 저자명 : 박병도

    초록

    1990년대 들어 북한에서 발생한 홍수 또는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와 이에 대한 권력 기구의 부적절한 대응 그리고 권력 불균형 문제로 인해 심각한 식량난이 가속화되면서 북한 주민의 탈북이 하나의 일상화된 현상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대규모 인원이 탈북을 감행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1990년 북한 경제의 붕괴와 이후 심각한 경제난과 더불어 자연재해, 농작물 흉작으로 인해 지독한 굶주림(飢餓)에 시달리게 되자 수많은 북한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북한지역을 이탈하여 중국으로 들어가고 있다. 그런데 중국정부가 이들을 북한으로 강제 송환함으로 북한에서 참혹하고 비인간적이며 굴욕적인 대우를 받거나 심지어 죽임에 직면하는 등의 위험에 처하는 사례가 지속하여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북한의 탈출은 거의 그 시작에서 끝까지 인권 침해를 수반한다. 탈북자들이 강제로 북한으로 송환되면 이들의 출국을 반역으로 간주하여 구금, 고문,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처우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사형 선고까지 단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은 경제적 이유로 북한지역을 이탈하여 중국에 있는 탈북자에게 난민지위 자격을 인정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국제난민법의 해석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난민협약상의 난민 정의를 바탕으로 탈북자의 난민지위 적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해석 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난민협약에 의해 난민으로 인정되는 협약난민의 개념은 불변한 데 비해 UNHCR이 규정하는 난민개념은 국제사회의 환경변화에 따라 그 정의가 확대되고 있다. 즉 60여년 전에 이루어진 국제난민법상의 난민 정의를 변화된 국제사회의 현실에 부합하게 해석하여 경제적 이유로 삶의 터전을 떠나지 않으면 죽을 수 밖에 없는 자, 이른바 경제난민에게 난민지위를 인정할 수 있는 법리를 찾아보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해석은 1950년 난민협약을 근거로 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 글은 탈북자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이 글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탈북자는 식량난 때문에, 즉 경제적 이유로 탈북한 자들을 대상으로 제한한다.
    또한 탈북자에게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안정된 생활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법적 방법이 이들에게 국제법상 난민지위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은 현재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는 중국에 있는 탈북자에게 적용되어야 할 국제인권법 및 국제난민법상의 강제송환금지원칙도 검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탈북자의 강제송환은 난민협약, 고문방지협약의 위반이며, 국제관습법상의 강행법규인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에도 위배되는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Since 1990, many North Koreans have fled the country, and a large number of North Korean escapees are believed to be staying illegally in China. By the mid-1990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combined to create mass famine and desperation among many North Koreans. Disastrous floods and droughts compounded to force North Koreans to cross the border to China. Today most flee in search of food or work, while some leave in search of political freedom. Most of them have uncertain legal status and are unable to openly ask for help.
    North Koreans who successfully cross the border with China constantly fear capture and repatriation by Chinese officials. Despite extensive evidence of imprisonment, torture, and even death upon return to North Korea, Chinese authorities act according to a secret North Korean bilateral treaty to repatriate any unauthorized North Koreans in Chinese territor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rotests China's actions and argues that China, as a signatory to the U.N. Convention on Refugees and the U.N. Convention Against Torture must screen these individuals before repatriation. These Conventions further prohibit contracting states from returning an individual “where his life or freedom would be threatened...... terming this individual a “refugee sur place.” China has refused to allow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 access to these individuals in the border region to determine whether they meet the international requirements of a refugee. Instead, China argues that the North Koreans are nothing more than economic migrants.
    The Handbook on Procedures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Refugee Status (“Handbook”), published by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 differentiates between a “migrant” and a “refugee.” If he is moved exclusively by economic considerations, he is an economic migrant and not a refugee. The Handbook does leave open the possibility that an individual who flees a country for reasons not within the definition offered by the Convention may fall within the refugee definition and its protections after arriving in a signatory state. The Handbook designates such individuals as “refugees sur place.”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asylum seekers and analyses the legal protection available to North Korean defectors under international refugee law. The article focuses specifically o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s in the China and China's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refugee law and the eligibilty of North Korean defectors for refugee status.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contribute to the elaboration of durable solutions for the plight of North Korean asylum seekers by interpretation of the Refugee Convention and to develop a range of recommendations for law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urge China to grant all North Koreans defectors an humanitarian status that would allow them to remain in China without facing the risk of detention and refoulement until a durable solution is devised that fully protects their internationally recognized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