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업무개시명령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과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consideration of the work commencement order — Focusing on the Medical Service Act and the Trucking Transportation Business Act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8
36P 미리보기
업무개시명령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과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32권 / 2호 / 605 ~ 640페이지
    · 저자명 : 이행태, 장영철

    초록

    우리나라에서 2022년에 ILO 제29호 강제근로에 관한 협약이 발효됐다.
    그 이후 협약준수 여부와 업무개시명령에 따른 기본권제한 문제는 헌법적으로도 중요한 쟁점이 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2024년 의료법과 2022년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른 업무개시명령을 비교・검토하였다.
    아울러 업무개시명령으로 인한 기본권 제한의 정당성은 헌법 제37조 제2항 기본권제한의 원칙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두 법령은 기본권제한을 위한 형식적 정당성은 확보하고 있으나, 법령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다고 본다.
    의료법상의 업무개시명령은 목적의 정당성과 수단의 적합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국가의 보건의무와 직업 자유의 한계를 고려할 때 침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 역시 확보하고 있으므로 합헌적이다.
    그러나 정부의 사직서 수리금지 명령은 사직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하므로 사직의 실질이 정당한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의한 업무개시명령은 목적의 정당성과 수단의 적절성을 인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침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에 있어서는 국가경제라는 공익이 제한되는 화물차주의 기본권보다 크다고 하기 어려워 위헌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우리나라가 ILO 제29호 강제근로에 관한 협약을 비준하였으므로 협약내용 역시 헌법해석과 헌법적 정당성 판단의 기준이 된다.
    이에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이 협약에서 명시한 강제근로 금지의 예외사유에 해당하는 지도 쟁점이다.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가 우리나라에서 비준된 ILO 협약을 위헌심사에서 해석한 사례와 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가 업무개시명령에 대해 취하는 견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적으로 볼 때 의료인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은 강제근로 금지의 예외사유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물차주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은 강제근로 금지의 예외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n Korea, the ILO’s Forced Labour Covention 1930 came into force in 2022. Since then, the issue of compliance with the Convention and the legitimacy of the restri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following the work commencement order has also been an important constitutional issue.
    Therefore, this article compared and reviewed the Medical Service Act in 2024 and the work commencement order under the Cargo Trucking Transport Business Act in 2022. In addition, the legitimacy of the restri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due to the work commencement order was examined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restri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in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First of all, the two laws and regulations secure formal justification for limiting constitutional rights, but efforts to increase the clarity of the laws and regulations are necessary.
    The work commencement order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secures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n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state's health obligation and Freedom of Occupation, it is constitutional because it also secures the balance between the minimum infringement and legal interests.
    However, the government's order to ban the acceptance of resignations overly restricts freedom of resignation,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substance of resignation is justified.
    An order to commence business under the Cargo Trucking Transport Business Act may recognize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ns.
    However, in terms of the minimum infringement and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it was judged to be highly unconstitutional becaus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public interest of the national economy was greater than the basic rights of truckers, whose public interest was limited.
    Since Korea has ratified the ILO’s Forced Labour Covention 1930, it is also an issue whether the work commencement order is an exception to the prohibition of compulsory work.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ILO Convention ratified in Korea in the unconstitutional examination and the views taken by the ILO's Freedom of Association Committee on the work commencement order were examined. Overall, the work commencement order for medical personnel falls under the exception of the prohibition of forced work, and it is judged that the work commencement order for cargo owners does not fall under the exception of the prohibition of forced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