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찰권의 제한 - 개정 형사소송법, 검찰청법 및 공수처법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The Restrictions on Prosecution righ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0.06
36P 미리보기
검찰권의 제한 - 개정 형사소송법, 검찰청법 및 공수처법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법연구 / 32권 / 2호 / 261 ~ 296페이지
    · 저자명 : 장승혁

    초록

    개정 형사소송법과 개정 검찰청법은 검찰과 경찰의 관계를 상호 협력관계로 규정하여 경찰에게 수사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검찰의 직접수사의 범위를 법령에 의하여 제한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정 형사소송법은 경찰에게 1차적 수사종결권을 부여하여 경찰의 권한이 커졌음에도 검찰의 수사지휘를 폐지하였다. 또한 개정 검찰청법은 검찰의 직접수사를 법령에 의하여 제한하였지만 직접수사의 허용범위가 너무 넓어서 직접수사를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정 형사소송법과 개정 검찰청법은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형사절차의 효율적인 작동을 지향한 것이라기보다는 각 수사기관이 보유하고 싶은 권한을 각자 유지하거나 획득한 것에 불과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검찰과 경찰은 각자가 전문가로서 그 능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의 활동에 집중하여야 한다. 앞으로 형사소송법은 검찰의 경찰수사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검찰청법은 검찰의 직접수사 범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각 개정되어야 한다.
    공수처법은 고위공직자범죄에 대한 수사권, 특히 검사의 범죄에 대한 수사권과 공소권을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수사기관인 공수처에 부여하였다. 이것은 수사기관 사이의 단순한 권력 분할이 아니라 공수처가 견제 받지 않았던 권력인 검찰권을 견제함으로써 검사를 비롯한 고위공직자에 대한 수사권과 공소권 행사의 적정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다만, 공수처의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그러한 견제를 실질화하는 것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영어초록

    Restrictions on prosecution rights should be made in the direction of ensuring the basic human rights of the suspect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making sure that prosecutors play a role that conforms to its functional essence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ensuring proper exercise of investigative rights and right to prosecute.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revised Public Prosecutors' Office Act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as a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thereby ensuring the police's autonomy in investigation and limiting the scope of the prosecution's direct investigation by law.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however, abolished the prosecution's direction to investigate the case despite the increased authority of the police by granting the police the right to first and finalize the first investigation. In addition, the revised Public Prosecutors' Office Act limited the prosecution's direct investigation by law, but the scope of the direct investigation was too wide to actually limit the direct investigation. In this sense,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revised Public Prosecutors' Office Act implicate that each investigative agency has retained or acquired its own right, rather than aimed at guaranteeing the suspect's basic rights and efficient operation of criminal procedures.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should focus on the activities of areas in which each can effectively exercise its ability as an expert. In the future, the Criminal Procedure Act should be revised to strengthen the prosecution's judicial control over police investigations, and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Act should be revised to minimize the scope of the prosecution's direct investigation.
    The Senior Civil Servant Corruption Investigations Unit Act gave the Senior Civil Servant Corruption Investigations Unit the right to investigate crimes committed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especially to investigate and prosecute crimes committed by prosecutors. Thi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that this Act will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exercising the right to investigate and prosecute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prosecutors, by checking the prosecution's power which was not checked by any other powers, rather than simply dividing powers between investigative agencies. However, it remains a future task to actualize such checks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Senior Civil Servant Corruption Investigations Un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