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선박에 대한 선박우선특권의 제척기간과 행사방법의 성질결정과 준거법 (Time Limits for Enforcing Maritime Liens over Foreign Vessels in Korea: Characterization and Applicable Law)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12
40P 미리보기
외국선박에 대한 선박우선특권의 제척기간과 행사방법의 성질결정과 준거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사법연구 / 25권 / 2호 / 361 ~ 400페이지
    · 저자명 : 석광현

    초록

    이 사건의 쟁점은, 채권자가 우리 법원에서 파나마선적의 선박에 대한 선박우선특권(maritime lien)을 실행함에 있어서 제척기간에 대하여 한국 상법을 적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선박우선특권의 준거법인 파나마법을 적용해야 하는지이다. 국제사법의 매우 중요한 총론적 논점의 하나인 성질결정을 둘러싸 논의는 매우 추상적이나, 이 사건은 ‘선박우선특권의 제척기간’이라는 쟁점을 중심으로 성질결정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 국제사법상 선박우선특권의 성립 및 효과는 실체로 성질결정이 된다. 따라서 제척기간도 실체로 성질결정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대상판결은 이와 달리 선박우선특권을 한국에서 실행하는 경우에 그 제척기간은 한국 절차법에 의할 사항이라고 판시하였으나 이는 근거가 없다. 선박우선특권의 성립과 효력을 실체로 성질결정하는 대법원이 그 소멸사유의 하나인 제척기간만을 절차로 성질결정하는 것은 일관성이 없다. 뿐만 아니라 대상판결의 태도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를 실체의 문제라고 성질결정한 대법원 1992년 판결과도 저촉된다. 요컨대 이 사건 선박에 대한 선박우선특권의 준거법은 파나마법이므로 제척기간은 파나마법에 따라야 하고 한국 상법 조문을 적용할 근거는 없다. 제척기간에 대한 판단에 관한 한 대상판결은 폐기되어야 한다. 국제사법에서 성질결정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성질결정(그 중에서도 절차와 실체의 구분)이 분쟁해결의 관건이 된 모처럼의 기회에 대법원이 쟁점을 정확히 분석하여 올바른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점은 무척 아쉽다.
    반면에 선박우선특권을 한국에서(특히 한국의 법원)에서 실행하는 경우에 그 실행방법은 절차의 문제이므로 그 중 일정한 사항은 한국 절차법에 의한다. 이 점을 확인한 범위 내에서 대상판결은 타당하다. 문제는 그러한 사항을 명확히 특정하는 것인데 이는 앞으로 판례를 통하여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case concerns, where a maritime lien over a Panamanian flagged vessel is enforced in Korean Courts, whether the Korean Commercial Act or Panamanian law, which is applicable to the maritime lien should be applicable to the limitation period. While characterization or classification,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can be quite abstract, the case provides a concrete example of its application.
    Under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the creation and effect of maritime lien are characterized as matters of substance. Therefore, Panamanian law, not the Korean Commercial Act, should be applied to the limitation period of the maritime lien. Nevertheless, the Supreme Court of Korea found in its judgment of October 13, 2011 (Docket No. 2009Da96625. the “Judgment”) that the limitation period of maritime lien is governed by Korean procedural law without providing any authority for such finding.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s not only at odds with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but also self-contradictory in that it, while characterizing the creation and effect of a maritime lien as a matter of substance, characterizes the limitation period, one of the reasons for its extinction, i.e.. the flip side of its creation, as a matter of procedure. Moreover, the Judgment is in conflict with a 1992 Supreme Court judgment that held that the prescription period for claiming damages in tort, which is arguably more procedural in nature than the limitation period, is a matter of substance. Accordingly, as the law applicable to the maritime lien is Panamanian law, the limitation period should also be governed by Panamanian law, and there is thus no basis for applying Article 786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Insofar a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limitation period is concerned, the reasoning of the Supreme Court should be rejected in the future. Given the importance of characterization in private international law, it is regrettable that the Supreme Court of Korea missed this rare opportunity to properly distinguish matters of substance and procedure in a case in which proper characterization was the key issue for resolving the dispute.
    On the other hand, if a maritime lien is enforced in Korea, especially in Korean courts, the method of enforcement is a matter of procedure and associated matters should thus be governed by Korean procedural law. Insofar as it confirms this position, the Judgment is correct. The task would be to clarify such matter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