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법 전통과 ‘state’ 개념 (English Law Tradition and the Concept of the ‘Sta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4.02
24P 미리보기
영국법 전통과 ‘state’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38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수

    초록

    일찍이 토마스 홉스는 『리바이어던』에서, 인간이 자연 상태의 비참함과 고립을 벗어나기 위하여 통치자에게 복종하기로 하는, 정치적 의미의 본래적 약속을 서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통치자라는 가상의 인격과 국가라는 가상의 인격이 각각 탄생한다고 설파한 바 있다. 국가를 통치자와 피치자 모두와 구별되는, 별개의 인격체로 파악하는 홉스의 국가 개념은 이후 유럽 대륙의 정치학과 법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프랑스와 독일의 공법에 깊히 각인되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영국에서는 비실재적인 것을 배격하는 제레미 벤담의 실용주의가 그의 주장을 압도함으로써 인격체로서의 국가 개념은 자리잡지 못하였고 국가란 물적인 정부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인격체로서의 국가개념은 공익을 향유하는 주체로서 국가를 상정하고 정치적 행위들을 공익을 척도로 하여 심사할 수 있게 하며, 당대를 벗어나 후세대까지 구속하는 권리ㆍ의무의 주체를 상정할 수 있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공법이론사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반면 벤담은 자연 상태나 본래적 약속의 허구성을 지적하면서 그 대신에 효용이 정치적 지배ㆍ복종관계의 성립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실용주의자들은 법적 논의의 초점을, 행복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는 동기에 따라 움직이는, 실재하는 사람에 둘 것을 주장하였고 그들이 주장하는 효용의 원리는 영국의 법사상계를 지배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 법인으로서의 국왕 개념에서 홉스적인 국가 개념의 역할을 발견하려는 견해도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견해에서는 국왕을 일인 법인(corporation sole)이 아닌 다수인 법인(corporation aggregate)으로 파악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국왕이라는 법인은 실재하는 인격체이자 정신적, 법적 인격체로서 실재하는 집단적 의지를 행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20세기 이후 유럽화와 국제화가 진행되면서 개별 주권국가의 쇠퇴가 언급되고 있는 맥락에서 영국의 공법학자들은 다시 국가 개념을 회고하고 있으며 이는 통치가 아닌 협치의 시대 속에서 새로운 다스림의 양식에 대한 법적 규율의 방향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In the middle of seventeenth century, Thomas Hobbes portrayed the people who were thought to be placed in a nasty, brutish, and dissociated condition in a state of nature, unified through a original contract with each other to obey the sovereign, as forming a Commonwealth, that is, state. He suggests that the state is a persona ficta, who has the distinct moral personality and represented by sovereign who is also a artificial person.
    Hobbesian theory of state as a moral person, distinct from both rulers and ruled, had a overwhelming influence on the Continental theorists and was imbedded in the public law theories of major European countries. But ironically, his fictional theory was repudiated by Utilitarians as totally ungrounded and unmeaning and after that, the concept of the state in English tradition was reduced to impersonal governmental apparatus.
    Bentham urged that we should rather concentrate on real people who are motivated by an eager for pleasure and by an avoidance of pain, than indulge in fiction and abstrac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Hobbesian theory of state provided a means of reviewing the actions of political power, in that the conducts of government shall promote the common good or public interest, which is enjoyed by the state as a moral person. Furthermore, only the idea of state who possesses artificial eternal life as a moral person can explain the present binding effect of obligations which had incurred by previous generations and outlive that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n approach that draw attention on the personality of King and Crown.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Maitland suggests the concept of Crown as a corporation aggregate instead of corporation sole could provide an conceptual equivalent of state.
    After twentieth century, constant trend of europeanization and globalization has caused the theoretical concern about the legal and political identity of individual states. British legal theorists retrospect the concept of state in their legal tradition, in an effort to grope for the way to regulate the new means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of which legislator give little measure to re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