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적사회(Gesellschaft)의 등장: 법사회학 이론을 통한 국제관계의 법제화 경향 분석 (The Emergence of Gesellschaft : An Analysis on the Legal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 the Legal-Sociology Theo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6
40P 미리보기
법적사회(Gesellschaft)의 등장: 법사회학 이론을 통한 국제관계의 법제화 경향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57권 / 2호 / 97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유철

    초록

    이 글은 법사회학 이론의 적용을 통해 국제관계의 법제화 경향의 원인과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이론에 대한 대안적 이론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법에 대한 기존의 현실주의 제도론과 신자유주의 제도론의 국제법에 대한 관점은 패권국의 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한 도구 혹은 국가 간 단기적 협력촉진의 촉매제로 여기는 ‘도구적 관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관점은 패권국 혹은 합리적 행위자인 국가들이 국제관계에서 법적 영역의 확대·축소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고 전제하며, 국제법이 국제관계이 미치는 영향력을 제한적으로 본다. 본 연구는 베버, 퇴니스, 뒤르케임의 고전 법사회학 이론의 환기를 통해, 근대 유럽사회에서 산업자본주의의 등장에 따라 사회 구성원 간의 연대형태가 계약 및 이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법체계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었음을 밝히고, 유사한 법적사회로의 전환이현재 국제사회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법사회학이론이 분석하는 국제관계의 법제화의 양태는 국제경제체제의 변화에 따른 보다 구조적인 것이며, 국가 및 초국경적 행위자들의 연대형태를 조약 중심의 법적관계로 재구성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법사회학 이론은 법제화의 구조적 동기로서 경제적 변수에 주목하되, 그 결과로써 국가 간 사회화 효과를든다는 점에서 기존 국제정치이론의 국제법관과는 차별성을 지닌다. 법사회학 이론은 법제화에 관한 기존이론이 가지는 설명력의 한계를 극복하는 적확한 이론일 뿐 아니라, 국제정치-국제법 간 학제 간 연구를 위해 가장 포괄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build an alternative theory that better explains the legal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Existing neo-realist and neo-liber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s perceive international law either as a convenient tool of hegemonic power or a tool for reiterated cooperation among states. Those existing pieces of literature assume that a hegemonic state or main stakeholders of institutions easily control or revert the level of legalization. This article challenges such mainstream theories by building an alternative theory developed from the legal-sociology approach.
    For the theory-building, this article draws some crucial insights from the classical pieces of the legal-sociology: Max Weber, Ferdinand Tönnies, and Emile Durkheim.
    The classical works emphasize that the emergence of industrial capitalism as the main cause of the transition to the Gesellschaft. The impact of Gesellschaft, however, went beyond the economic realm by restructuring the solidarity among social actors.
    Analogous to the emergence of Gesellschaft in domestic societies, the article claims that the Globalization of industrial capitalism affected the legal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legal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systematic reality, restructure the interaction among states and non-state actors by socializing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