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법의 본질과 조약 해석에 관한 소고: 해석주의 법철학을 중심으로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and treaty interpretation: With special focus on an interpretivist approac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국제법의 본질과 조약 해석에 관한 소고: 해석주의 법철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3권 / 4호 / 339 ~ 364페이지
    · 저자명 : 박정원

    초록

    본 논문은 2013년 별세한 Ronald Dworkin의 해석주의 법철학의 관점에서 본 국제법의 본질과 이를 바탕으로 한 조약 해석의 문제를 다룬다. 그의 유고논문인 “A New Philosophy for International Law”는 해석주의 국제법의 타당성에 관한 많은 논쟁을 낳았다. 정치적 자유주의 (political liberalism)에 기반을 둔 해석주의 법철학은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주의에 의한 국제법의 이해를 넘어설 것을 촉구한다. 해석주의는 기본적으로 형이상학적 전제를 기반으로 하는 법과 도덕의 구별을 거부하며 법은 정치적 도덕의 일부라고 이해한다. 법은 도덕의 일부이고 법과 개인 그리고 국가는 모두 도덕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은 해석주의 국제법론의 핵심적 주장이다. 이는 또한 국제법의 준수와 발전이 국가만이 아닌 국제법관행에 참여하는 모든 행위자들의 엄중한 의무이자 과제라는 것을 말해준다.
    국제법에 대한 이해는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주의가 주도하였지만 국제법에 대한 이 두 개의 주류적 이해 방식은 많은 부분에서 국제법 이해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일관성 있는 국제법 이해를 힘들게 만드는 것이 사실이다. 해석주의는 이런 국제법 이해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해준다. 해석주의 국제법론의 전개는 앞으로 다양한 쟁점별 국제법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화되고 발전될 것이다.
    해석주의는 법관행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의 계속적인 최고의 논거 제시와 반박을 통한 합의의 과정을 필연적으로 요구함으로써 공동체에서의 일정한 가치의 객관성을 ‘역사적으로’ 확보해 나간다. 국가와 구성원을 도덕적으로 연결시키는 각국의 국내법 질서는 구성원들의 도덕적 대리자로서의 국가들의 연대적 의무와 함께 국제법의 토대를 만든다. 그런 국제법 질서는 국제법관행에 대한 행위자들의 최고의 논거 제시를 통한 정당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정치적 도덕으로서의 국제법을 심화 발전시킨다.
    국제법의 주요 법원인 조약에 대한 해석도 결국은 조약 당사자들의 진의를 국제공동체의 헌법 원칙들과도 같은 국제법의 근본 원칙들에 비춰 이해하는 과정이며 조약 당사자들을 위시한 해당 법관행에 관계되는 참여자들의 계속적인 가치판단의 과정을 통해 조약문의 진화적 이해를 추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조약 해석은 결코 재판소나 국가만의 독점물은 아니며 고정적인 일회성의 작업도 아니다. 조약 당사자들을 위시한 관련 국제법관행의 행위자들의 끊임없는 논거 제시와 반박을 통한 법관행의 정당화 과정을 밟아 나가면서 그 목적을 추구해 나가는 변화와 연속의 과정일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problems of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and treaty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vism, developed by the great liberal legal philosopher, Ronald Dworkin, who died in 2013. Dworkin’s posthumously published article “A New Philosophy for International Law” has triggered diverse controversies about the plausibility of his interpretivist approach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Interpretivism based on political liberalism requires us to go beyond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theories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Interprevisim denies any metaphysical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law and morality. It attacks any kinds of distinction between morality and law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aw in a society, because such distinctions will make a coherent understanding of law very difficult. Rather, interpretivism accepts law as a part of political morality and all values, including politics, humanity, justice and others are intertwined and incorporated into a broadly defined general morality in a society, which is eventually about how human beings should live meaningfully and happily in a political community. Unity of value is also the core of interpretivism and a political community in the name of a statehood and its constitutive members are all interconnected though moral obligations and rights. These kinds of moral states comprise an international community.
    Undoubtedly,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theories have been dominant theoretical trend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se two schools of thought have contributed to an incomplete and inconsistent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w. In this regard, interpretivism shows u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such intellectual limitations caused by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theories, thereby broadening the academic horizon for prope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w.
    Interpretivism tends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objectivity of value historically through the continuing process of providing potentially best arguments and rebuttals, with the goal of justifying the values of relevant law practices in question by all relevant participants in a community, which will encourage consensus and acceptance in a democratic fashion over time. Domestic legal orders that connect each state and its peoples provide moral bases of international law through solid associative obligations of states as moral agents of their peoples across borders. Such international legal order structured by moral states will develop and deepen the authority of international law as a political mor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vism, treaty interpretation is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real intentions of contracting parties to a particular treaty ‘in light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values of international law as a sort of a constitutional law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also a process of reading the texts of relevant treaties in an evolutionary way through the constant making of ‘value judgments’ by all relevant participants, obviously including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ose treaties, all of whom have been concerned and connected with the law practices in question. Therefore, treaty interpretation cannot be a one-off process with matters exclusively reserved only for courts and states. Rather, a proper treaty interpretation should be the process of ‘continuity’ and ‘change’ in which the constant provision of potentially best arguments and the justification for the values of relevant international law practices are essentially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