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막스 베버의 근대법 이론으로 본 조선후기와 한말 시기 법의 변화 (Max Weber’s Theory of Modern Law and the Legal Change in The Late Joseon and The Korean Empire Period)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5
43P 미리보기
막스 베버의 근대법 이론으로 본 조선후기와 한말 시기 법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이론 / 51호 / 237 ~ 279페이지
    · 저자명 : 신동준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의 근대적 법 형성 과정이라는 큰 흐름에서 조선후기와 한말 시기에 주목하여 법의 변화를 살펴보려 한다. 먼저 베버의 형식적․합리적 법 개념에서 핵심 요소들을 추려낸 후, 이러한 요소들을 기준으로 당시 조선시대 법체계의 형식성과 합리성을 진단한다. 조선시대의 법체계는 예를 법원리로 하여『대명률』과 국전으로 조직화된 비교적 일관되고 체계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유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실질적 목적을 추구했고 유교적 신분질서에 토대했다는 점에서 형식성과 합리성을 결여한 본질적으로 비합리적인 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법의 체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고, 서구의 영향으로 근대적 사법개혁의 시도가 제한적이지만 의미 있는 수준에서 꾸준히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문 법률가 집단이 결여되어 있었고, 제국주의 열강의 침탈에 맞서서 전제 왕권의 강화가 추구됨으로써 주체적인 법의 근대화는 험난한 길을 걸어야만 했다. 이 글은 왜 조선이 근대적 법 형성에 실패하게 되었는지를 법의 합리화 과정에 대한 베버의 역사사회학에 기대어 분석한다. 여기서 일본의 간섭은 결정적인 역사적 우연성으로 작용하게 되었는데, 결국 일제의 병탄으로 근대적 법이 일본에 의해 강제적으로 도입됨으로써 우리나라 법의 근대성은 ‘식민지성’을 띄게 되었으며 이후 우리나라의 근대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historical process of making modern law in Korean society, using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Max Weber’s sociology of law. The legal system of Joseon dynasty with ‘Li(禮),’ propriety, as the legal principle could be regraded as relatively consistent and systematic to some extent. Essentially, however, the law of Joseon dynasty was characterized by irrationality because it pursued the substantial objective of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values and was founded on Confucian status order.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rove the on-going efforts to systematize law, and the Imperial threats instigated modern legal reforms at a limited but substantial level. However, the efforts for autonomous modernization of law faced hurdles along the way because specialized professional status groups of lawyers did not exist and King Gojong tried to strengthen authoritarian royal power in response to the threats from powers of imperialism. Korea was forced to introduce modern law by Japanese annexation, and eventually the effort for a autonomous modernization of law had failed. The formation of modern legal system in Korea had to follow deviated path from the start. From this perspective, a future study is suggested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modern law by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impact of colonial law on the modernity of Korean law and the Korean modernity in gene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