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Job-sharing(일자리나누기)의 도입에 따른 노동법․사회보장법적 과제 (Arbeits- und sozialversicherungsrechtlichen Probleme für eine Einführung des Job-shar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2.06
28P 미리보기
Job-sharing(일자리나누기)의 도입에 따른 노동법․사회보장법적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65호 / 217 ~ 244페이지
    · 저자명 : 방준식

    초록

    Job-sharing(일자리 나누기)은 국내의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가 지속적으로 고용안정대책으로서 제시하고 있는 정책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Job-sharing과 Work-sharing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Job-sharing은 통상근로자의 근로시간을 나누어 단시간근로자들로 전환시켜 고용을 창출한다는 점, Work-sharing은 근로시간을 줄여 일감을 나눔으로써 해고회피수단으로 사용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로시간을 단축한다는 의미에서 보면 Job-sharing과 Work- sharing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Job-sharing의 미국식 유형인 Job-pairing과 독일식 유형인 Job-splitting은 그 법적 구조나 특징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본다. 특히 Job- pairing의 독립사업반(Eigengruppe)적 성격과 Job-splitting의 사내작업반(Betriebsgruppe)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장차 우리나라에서의 Job-sharing(일자리나누기)정책과 관련하여 노동법적인 과제에 대한 해답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Job-sharing의 도입은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실업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나 임금수준의 저하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보험을 통한 보호방안 이외에도 사회안전망의 확보 차원에서 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근로시간에 포함되는 교육훈련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임금수준을 유지하거나 일정한 소득을 유지하도록 하는 유급휴직 등의 활용을 통해 가계소득의 감소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법률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Job-sharing als neues Arbeitszeitmodell witft nicht nur arbeitsrechtliche Probleme auf, sondern kann auch Auswirkungen auf das Sozialversicherungsrecht haben. Das Neuartige an dieser Form der Arbeitszeitgestaltung ist, daß sich zwei oder mehrere Arbeitnehmer einen oder mehrere Vollzeitarbeitsplätze untereinander aufteilen.
    Das amerikansche Modell des Job-sharing, das - gemessen an deutschen Rechtskategorien - nach außer als rechtlich selbständige Eigengruppe und im Innenverhältmis als Gesellschaft zu charaktersieren ist, dürfte für eine Einführung und Praktizierung in Korea ungeeignet sein; dazu würde es zu geringen arbeits-und sozialversicherungsrechtlichen Schutz bieten. Demgegenüber sind das Job-sharing arbeitsrechtliche Konstruktionen vorzuziehen. Dies tritt auf die Organisationsform der Betriebsgruppe zu Treten die Job-sharing-Partner als Eigengruppe auf, kommen im Zeitpunkt der Arbeitsaufnahme ebenfalls Arbeitsver- hältnisse mit dem Arbeitgeber zustande.
    Das Job-Pairing-Team wird von zwei Arbeitnehmern, die sich zu diesem Zweck als Innengesellschaft Bürgerlichen Rechts verbunden haben, durch Begründung eines einheitlichen Arbeitsverhältnisses mit einem Arbeitgeber zum Zwecke der gemeinschaftlichen Besetzung eines Vollzeitarbeitsplatzes gebildet. Will einer der Arbeitnehmer das Arbeitsverhältnis beenden, so folgt die Pflicht des Partners zur Mitwirkung bei der gemeinsamen Kündigungserklärung aus dem zwischen ihnen bestehenden Gesellschaftsvertrag. Bei einem Kündigungsverlangen zur Unzeit macht sich der Partner schadensersatzpflichtig.
    Das Job Splitting Team wird aus zwei Teilzeitarbeitnehmern vom Arbeitgeber zusammengestellt, die sich zur Arbeit im Team vertraglich verpflichtet haben. Es kann durch Neueinstellung zweier Arbeitnehmer, durch Arbeitszeitreduzierung eines bereits im Betrieb beschäftigten Arbeitnehmers und Neueinstellung einer Teilzeitkraft aber auch nach Ausscheiden eines Partners durch Einstellung eines Ersatzpartners gebildet werden.
    Das vorstehenden Ausführungen machen deutlich, daß die gesetzlichen Vorschriften des Sozialversicherungsrechts überwiegend von normalen Vollzeitarbeitsverhältnissen ausgehen. Allenfalls haben herkömmliche Teilzeitbeschäftigungen Berücksichtigung gefunden. Je flexibler aber die Arbeitszeitregelungen werden, desto größer sind die Schwierigkeiten im sozialversicherungsrechtlichen Bereich, ganz deutlich zeigt sich das bei größeren Job-sharing Intervallen.
    Angesichts des Bedürfnisses nach flexiblen Arbeitszeitregelungen, wie Job-sharing, sollten die Bestimmungen des Sozialversicherungsrechts darauf abgestellt werden, daß solche neuen Arbeitsformen eingeführt werden können, onne daß die sozial Sicherung der Arbeitnehmer darunter leid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