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랍에미리트 중재법 (Federal Law No. 6 of 2018 on Arbitration of the United Arab Emirat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12
44P 미리보기
아랍에미리트 중재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사법연구 / 25권 / 2호 / 599 ~ 642페이지
    · 저자명 : 박이세

    초록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 이하 “UAE”)는 2018. 5. 15. 중재에 관한 2018년 연방법 제6호(이하 “UAE 중재법” 또는 “연방중재법”)를 공포하였다. 초안이 처음 회람된 것이 2008년이라고 하니 꼬박 10년 만의 일이다. 이 단행법의 제정으로 민사소송법에 관한 1992년 연방법 제11호의 중재편을 삭제한다. 시행일은 2018. 6. 16.이니, 어느덧 일 년 넘는 시간이 흘렀다. 한국은 국제거래법에 관한 국제연합 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가 1985년 채택하고 2006년 개정한 국제상사중재에 관한 모델법(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이하 “모델법”)을 1999년에 전면 수용하여 국제적으로 검증된 보편성이 있는 중재법을 가지게 되었고, 현행 중재법은 개정 모델법을 10년 만인 2016년에 수용한 것인데, 여기에서는 UAE 중재법의 주요 내용을 한국 중재법과의 차이점 위주로 일부 소개한다.
    UAE 중재법 중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신속성을 강조하는 기간의 명시인데, 이를 통해 법원이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고 중재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한다는 취지만큼이나 분명해져야 할 것은 훈시규정인 여부 등 위반 관련 문제이다. 중재인이 중재지 밖에서도 중재판정에 서명할 수 있고, 중재조항을 포함하는 표준계약서를 인용하는 경우도 서면에 의한 중재합의로 본다는 등의 명시는 UAE 중재실무를 고려한 현실적인 조치로 보인다. 중재인 독립성 강조, 다수당사자와 선결문제 관련 기준 제시, 중재인 윤리강령 및 명부 작성 등의 시도는 높이 살만하다. 전자통신기술 활용의 의지도 도처에서 엿볼 수 있다.
    UAE는 가히 중동에서 국제상사중재가 가장 활성화 된 국가라고 할 수 있는데, 연방중재법의 제정은 역내(onshore) 중재마저 이미 모델법에 기초하여 중재에 호의적인 두바이국제금융센터(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 DIFC) 중재법 내지 아부다비세계시장(Abu Dhabi Global Market, ADGM) 중재법에 따른 역외(offshore) 중재와 비슷한 수준에서 병존시키기 위한 마지막 퍼즐 조각과 같은 것이다.

    영어초록

    On 3 May 2018,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promulgated Federal Law No. 6 of 2018 on Arbitration (“Federal Arbitration Law”). The enactment of this stand-alone legislation, which entered into force on 16 June 2018, replaces the Arbitration Chapter of Federal Law No. 11 of 1992 on the Civil Procedures Law. The Republic of Korea in 1999, adopted the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1985 and in 2016, its amendments as adopted in 2006.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the Federal Arbitration Law of the UAE by comparing it with the Arbitration Act of Korea.
    Most notably, the Federal Arbitration Law imposes time limits for the various stages of proceedings, thereby emphasising the endeavour to expedite the process (articles 15(2), 19(2), 21(4), 25, 30, and 42(1)). In light of the arbitration practice in the UAE and to bring an end to controversies, article 41(6) states that an arbitral award may be “signed [...] outside the place of arbitration”, and article 7(2) that “[t]he requirement that an Arbitration Agreement be in writing is met [...] [i]f a reference is made in a written contract to the terms of a Model Contract, international agreement or any other document containing an arbitration clause”. The Federal Arbitration Law strives to ensure independence, impartiality, and transparency (articles 10(2) and 58) and attempts to address, among others, incidental question (article 43) and multiple parties (article 22). It also promotes the use of electronic and other modern means of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articles 28(2), 33(3), 35, and 41(6)).
    By proffering Financial Free Zones, such as the 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 (DIFC) and the Abu Dhabi Global Market (ADGM) as offshore jurisdictions, the UAE may already be the most arbitration-friendly in the Middle East. The Federal Arbitration Law seeks to fill the gap to bring the onshore jurisdiction to a level comparable to the two.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