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리미술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gal Protection for Street Art -Focusing on Copyright Law)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0.12
37P 미리보기
거리미술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4호 / 111 ~ 147페이지
    · 저자명 : 박광선

    초록

    거리미술은 사회의 주류와는 동떨어진 일종의 대항문화로 출발하였으나, 어느덧 미술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엄연한 미술 장르로 자리 잡았다. 이는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사람들이 거리미술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이를 상업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늘어났다. 이로 인해 현재 거리미술을 둘러싼 법적 분쟁의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도 큰 상황이다. 우리 저작권법은 창작 과정의 적법성을 저작권의 성립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기에 시설물 소유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제작된 거리미술 작품일지라도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되어야 함은 비교적 분명하다. 다만 무단으로 거리미술이 설치된 사안에서는 작가가 물리적인 원본의 소유권을 가진다고 평가하기 어려운 데다가, 우리 저작권법상 개방된 장소에 설치된 미술작품에는 폭넓은 저작권 제한 사유가 적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안에서, 거리미술 작가는 작품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는 데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메시지를 대중에게 널리 퍼뜨리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를 고려할 때, 거리미술에 대하여 절대적인 법적 보호를 부여하지 않는 현행법 체계의 기본 방향 자체가 정의에 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현행법 체계는 여러 법적 쟁점에 관한 불확실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부합의 법리에 따라 거리미술 작품의 물리적 원본의 소유권을 상실하는 작가에게 이에 상응하는 보상이 주어져야 하는지, 거리미술 작품을 파괴한 사람이 작품의 소유자가 아닌 작가에 대한 배상책임을 지는지 등의 쟁점이 바로 그것인데, 이를 고려할 때 현행법 제도는 기존의 틀을 유지하되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해 나가는 방향으로 개선·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Street art that started out as a counter culture far from the mainstream of the society has now become one of decent art genres art lovers adore. It is definitely a good thing to the artists. However, as more people acknowledge the value of street art, there have been more attempts to use it commercially, and nowadays, there is higher potential of legal disputes regarding street art than ever. Korean Copyright Act does not demand copyrighted work to be created legally. Therefore, it seems to be quite clear that street art with originality should be given copyright protection even though it was attached to other’s premises without any authorization. However, an artist’s control over street art would be somewhat restricted in this sort of cases. Because (i) street artists, especially who drew an unauthorized mural are likely to lose their ownership of the physical copy of it through accession; and (ii) Korean Copyright Act sets out a huge limitation on artworks permanently displayed in public space. Considering the intent of street artists who want their message to be conveyed widely to the public without any restriction, it is hard to say that the current system which does not provide street artists with absolute legal protection is unreasonable. Still, there are some uncertainties in the current system that should be addressed and ameliorated. Among them are (i) whether remuneration should be given to an author who loses his or her ownership of a physical copy of the work through accession; and (ii) whether a person who destroyed the physical copy should pay damages to the author who does not own the copy. In this regard, a reformation on the current legal system with regard to street art should focus on reducing the uncertainties while maintaining the orientation of the system as int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