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고법제에 있어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in the reporting legal syste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9
32P 미리보기
신고법제에 있어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학 / 27호 / 373 ~ 404페이지
    · 저자명 : 조성규

    초록

    법은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강제력 있는 규범인 점에서, 당연히 사회질서의 체계에 부합하는 규범적 체계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부대등관계를 본질로 하는 행정법관계에서는 더욱 중요한 요청이며, 특히 법의 내용이 국민의 권리나 의무와 관련되는 행위규범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럼에도 현행법제상 신고에 관한 법체계는 가히 복마전이라고 할 정도로 난맥상이며, 이는 신고법제의 내용상의 문제에서는 물론 체계상의 문제에서도 비롯되는바, 그 결과 수범자로서 국민은 물론 법을 적용하는 행정의 입장에서도 많은 규범적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1.3. 「행정기본법」 제정으로 신고법제의 모호성에 대한 입법적 해결을 시도하였으나, 「행정기본법」 자체의 정체성 및 규율내용의 모호성으로 인해 「행정기본법」이 과연 신고의 구별 문제로 인한 규범적 혼란에 대한 ‘입법적 해결’인지에 자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의문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더하여 「행정절차법」까지 신고법제에 대한 규율에 중복적으로 가세하고 있는 입법적 상황은 법체계의 정비에 대한 필요성을 점점 더 크게 요구하고 있다.
    물론 입법에는 상당한 입법형성의 자유가 인정된다는 점에서 신고법제에 있어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 및 이에 따른 신고법제의 규율에 대한 법적 정비의 문제는 사회적으로 용이한 것은 아니며, 특히 입법정책적 특성이 강하게 개입할 수밖에 없는바, 결국 이는 법규범적인 선험적 논리의 문제라기보다는 ‘최적화 법률’을 위한 사회구성원들의 다양한 의사의 조화와 수렴을 핵심으로 하는 입법정책의 문제이다. 다만 그 방향성과 관련하여, 신고는 그 본질이 사인의 공법행위로서, 사인이 행정의 객체로서 행정의 상대방의 지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공법상의 권리와 의무를 형성하는 주체로서 행정에 참여하게 하는 점에서 행정법 체계에 있어 그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고, 그러한 점에서 신고의 법제화에는 행정의 관점이 아닌 국민의 관점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법의 사회적 기능을 고려할 때, 법은 “좋은 입법”이어야 한다. 입법은 한 국가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의 산물로서, 현재의 입법수준은 한 국가의 발전정도와 경쟁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가 되는바, 좋은 입법의 관점에서 볼 때,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은 통합의 필요성이 있다. 물론 그 통합의 구체적 방향과 내용에는 상당부분 입법정책적 재량이 인정되는 점에서 법원리적인 획일적 결론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행정기본법」으로의 통합법제가 기본적으로 타당한 방향이라고 보인다.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 및 규율 내용에 대해서는 비판의 소지가 많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그러한 점에서 현재의 「행정기본법」이 ‘좋은 입법’으로서 최선의 입법이 아닌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문법 중심의 행정법 체계에 대한 일반법전화를 위한 차선의 선택이라는 점 역시 부인할 수 없는 규범적 의미인바, 이제는 기왕에 제정된 「행정기본법」이 더 이상 차선의 입법에 머물지 않고, 최선의 ‘좋은 법률’로 하루 빨리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때이고, 신고법제의 통합은 그러한 노력의 하나의 발걸음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law is a compulsory norm for maintaining social order, it must naturally have a normative system consistent with the system of social order. Nevertheless, the legal system for reporting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is in such a mess that it is called an abode of demons, and this stems from systematic problems as well as from the content of the reporting law, resulting in a lot of normative confusion not only for the people but also for the administration that applies the law.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nactment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 March 2021 attempted a legislative solution to the ambiguity of the reporting law, but due to the ambiguity of the identity and discipline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itself, many questions are already raised about whether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a “legislative solution” to the normative confusion caus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reports. In addition, the current legislative situation, in whic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s repeatedly added to the regulations on the reporting law, is increasingly demanding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Of course, since legislation recognizes considerable freedom of legislation, the issue of legal reorgan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the reporting law is not socially and legally easy. In particular, legislative policy requests are bound to intervene strongly in this issue, and in the end, this is not a matter of legal normative a priori logic, but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that focuses on the harmony and convergence of various opinions of members of society for the “Optimization Act”. However, in terms of its direction, the legalization of reporting requires sufficient discussion and social consensus to ensure procedural legitima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not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on.
    Given the social function of the law, the law should be “good legislation”. Legislation is a product of a country's diverse history and culture, and the current level of legislation is an important measure of a country's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good legislatio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need to be integrated. Of course, there is no uniform legally conclusion in that legislative policy discretion is recognized in the specific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integration, but the integrated legislation into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seems to be basically a reasonable direction.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re is a lot of criticism about the enactment process and regulations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in this regard, it is true that the current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not the best legislation as “good legislation”. Nevertheless, it is also an undeniable normative meaning that it is the next best choice for general legal calls for an administrative legal system centered on unwritten law. Therefore, it is time for social efforts to ensure that the previously enacted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no longer stays in the next best legislation and establishes itself as the best ‘good law’ as soon as possible, and the integration of the reporting law is one step in such eff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