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정거래법상 자진신고 감면제도에 관한 법적 소고 (A Legal Study on Lenien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09
26P 미리보기
공정거래법상 자진신고 감면제도에 관한 법적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8권 / 3호 / 161 ~ 186페이지
    · 저자명 : 조현진

    초록

    자진신고 제도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어 시행된 이후에 부당 공동행위의 적발과 억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게 되면서 각국의 경쟁당국이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공정거래법 역시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통하여 건전한 시장경제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부당 공동행위를 규제하는 한편 자진신고 제도를 두고 있다.
    그런데 부당 공동행위는 그 행위의 속성상 비공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증명할 직접적인 증거를 발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정의관념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자진신고 감면제도를 두고 있는 것은 그나마 부당 공동행위의 존재와 이를 입증할 증거를 얻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모든 제도가 그렇듯이 자진신고 감면제도 역시 부당 공동행위에 대한 반성의 의미가 아닌 단순히 제재의 수위를 낮추거나 면해보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면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경우에는 감면의 혜택을 받을 수 없도록 하였다. 부당 공동행위를 한 사업자는 자진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공정거래위원회에 지속적이고 성실하게 협조할 의무를 부담한다.
    자진신고를 한 사업자가 자진신고 이전에 증거인멸을 한 사안에서 대법원은 후순위로 자진신고를 한 사업자가 자진신고의 요건인 부당 공동행위를 입증할 증거의 제출과 공정거래위원회에 성실하게 협조할 의무를 위반하였다는 것을 이유로 감면신청을 허용하지 않은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을 지지하였다.
    시장을 과점지배하고 있는 사업자가 현장조사 당일 컴퓨터 포맷이라는 형태로 관련 자료를 폐기한 것은 자진신고에서의 자료제출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증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에는 자료의 파기 등을 하지 않을 의무를 포함하는데, 자료의 폐기 시점이 사업자가 자진신고 여부를 진지하게 고려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라면 반드시 자진신고 이후의 파기일 필요는 없다고 할 것이다.
    자진신고 감면제도는 부당 공동행위의 예방과 억지라는 제도의 취지를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단순히 제재조치를 피하고자 하는 의도로 이용하는 사업자에게까지 인정할 필요는 없다고 할 것이다. 증거인멸 후의 자진신고 감면을 인정하지 않은 이번 대법원의 판단은 이러한 측면에서 타당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다만 증거인멸 이후의 자진신고라 할지라도 이것이 당해 사업자의 뒤늦은 반성과 조사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의지에서 이루어진 것이라면, 자진신고 제도의 취지가 부당 공동행위를 적발 내지 억지하는 것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정거래위원회의 재량으로 제재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입법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An unfair collaborative acts (hereinafter “Cartel”) is the object of regulation because it disturbs a market order and damages both consumers and enterpris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 evidence to prove it because a cartel is performed privately in the nature of the act. That is why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hereinafter “the Act”) allows voluntary reports to get corrective measures or the penalty surcharge imposed by Fair Trade Commission (hereinafter “the Commission“) be mitigated or exempted, or the complaint filed be exempted (hereinafter “Leniency”).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contrary to the notion of justice, it is considered that Leniency is the best way to obtain evidence to prove a cartel, the existence of the cartel itself as well.
    Since Leniency is to elicit crucial evidence directly from wrongdoers involved in a Cartel, the Commission is able to obtain better and more evidence of the Cartel in a shorter period of time. This ultimately reduces the time and effort of the competition authorities, enabling efficient enforcement.
    Each countries has a different status on whether the second whistle-blower should be covered by the Leniency. Obviously,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second on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urpose of Leniency to prosecute and to deter a Cartel.
    As we can see many other regulatory systems, Leniency might be abused as a means of lowering or eliminating the level of sanctions rather than self-reflection by enterprisers. To prevent them from abusing Leniency, the Act is not allowed the benefits of exemption in some cases. For Leniency, an enterpriser shall cooperate with the Commission in investigating the Cartel by submitting the evidence to prove their Cartel including not to discard related data.
    Recently, Supreme Court of Korea (hereinafter “the Court”) supported the Commission holding that an enterpriser violated its duty of submitting evidence and cooperating with the Commission by destroying data which might be critical evidence to prove the Cartel by formatting their computer system.
    Leniency should be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system of prevention and deterrence of Cartel, and it should not be allowed to those who abuse it with an intention to merely avoid sanctions. Therefore, the decision of the Court is reasonable.
    By the way,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Leniency is to deter or to prevent Cartel, if it is done in the late reflection of the wrongdoer concerned and the will to actively cooperate with the Commission’s investigation, the Commission's discretion should be required to adjust the level of sanctions, even if the Leniency is made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ev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