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적 법철학연구: 법의 내용으로서 비극성 (The Study on Literary Jurisprudence: Focusing on Tragic as the Substance of Law)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0.12
64P 미리보기
문학적 법철학연구: 법의 내용으로서 비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23권 / 3호 / 33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연미

    초록

    필자는 3개의 문학작품을 통해 법에 내재된 비극성의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3개의 작품을 공동체의 인륜적 비극성, 자유주의적 선택적 비극성론, 체험주의적 포괄적 비극성론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 글 전체는 법의 원천에서의 분열현상을 법의 비극성으로 보고, 이 비극성의 파악을 위해 자연법과 실정법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이 관계는 ‘문’의 메타포를 만들어 내고 법의 경계형상들이 법의 내용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찰한다.
    첫 번째 작품은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이다. 이 작품을 공동체적 인륜성의 관점과 문맹적 비극성, 생물학적 인지적 부정의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문학과 철학이 분기되지 않았던 고대 그리스의 아레테(Arete)사상에 이 작품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고찰하였다. 특히 헤겔을 문학적 법철학연구의 선구자로 보면서 그가 고대 그리스작품을 통해 ‘인륜성’개념을 발견한 맥락들을 짚어 보았다. 그리고 버틀러의 해석을 통해 허구적 안티고네를 친족법체계로 해석하는 것의 불가능성을 버틀러의 라깡해석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아레테의 개념을 축소시킨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혁명을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구름』을 통해 고찰하였다. 두 번째 작품은 카뮈의 『이방인』이다. 이 작품에는 3개의 죽음이 등장하고, 그중 뫼르소의 죽음을 개인적 선택의 귀결로 보고, 이를 자유주의적 선택성 비극성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카뮈의 부조리철학에 의거하여 이 작품을 해석하였다. 또한 뫼르소의 의식의 흐름을 추적하면서 스토아의 자연법사상이 간직한 이성적 기획에 대비하여 선택적 비극성을 생각해 보았다. 이 장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성적 『시학』의 구성과 이에 대한 셰익스피어와 괴테의 반이성적 기획, 그리고 벤야민의 비애극의 연구를 함께 고찰했다. 세 번째 작품은 카프카의 “법 앞에서”이다. 시골사람은 법의 문 앞에서 법치주의로 들어가려고 평생을 기다리며 산다. 문의 메타포는 법과 삶의 경계로서 식별되기 어렵다는 해석을 아감벤의 이론에 의거해서 비극성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법과 삶의 식별불가능성은 자연법과 실정법의 불가분성을 의미하고, 법과 불법의 식별불가능성으로서 법의 원천에 대한 문제 제기라 할 수 있다. 푸코와 아감벤의 생명정치사상은 이러한 포괄적인 법의 비극성을 보여 준다. 마치 예수가 법의 문을 닫아 버린 것처럼, 법과 삶이 구분되지 않는 상태를 아감벤은 “포함인 배제”이론으로 설명한다. 법의 문은 자연상태와 법치가 구분되지 않음에도 경계를 만들어서 안티고네적 ‘生中死’, 뫼르소적 ‘부조리’, 그리고 시골사람의 ‘예외상태’로서 잠재적 ‘호모 사케르’(Homo Sacer)를 발견하게 한다. 결국 ‘판결하기 어려운 사안’(hard cases) 문제가 현대법철학에서 발견하게 된 이유를 필자는 법의 내용으로서 ‘포괄적 비극성’이라고 불렀다.

    영어초록

    The autho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ragedy intrinsic in the law through three major literary works ? Antigone, The Stranger and Before the Law. In each of three literature, the author identifies humanitarian tragedy of community, tragedy in choice and liberty of law, and empirical comprehensive tragedy. This essay regards the phenomenon of separation at the source of law as the tragedy of law and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natural law and actual law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ragedy. It is in this relation that the ‘door’ metaphor is created, and the author considers how border imagery of law influences its context.
    First work is [Antigone] by Sophocles. The author examines Antigone from viewpoints of communitarian humanity and biological cognitive injustice. This section explores the meaning of ‘Arete’ thought in Ancient Greece for Antigone when no division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existed. In particular, with Hegel as a pioneer in literary jurisprudence, this section considers how Hegel discovered the concept of ‘humanity’ from Ancient Greek literature. It proceeds with the impossibility of interpreting fictional Antigone in the system of Family law on the basis of Butler’s analysis of Lacan. This section finalises with examination of philosophical revolution of Socrates that shrinks the concept of Arete though Comedy of Aristophanes, [The Clouds].
    Second work is [The Stranger] by Albert Camus. In this work, among three deaths appears, the death of Meursault is seen as the result of personal choice and the author contemplates Meursault’s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tragedy in choice and liberty of law. The Stranger is interpreted according to Camus’ Absurdism. With tracking the flow of Meursault’s consciousness, the author considers tragedy by choice compared to the rational project of Stoic’s idea of natural law. This section considers the composition of Aristotelian rational [Poetics] alongside anti-rational ideas of Shakespeare and Goethe, and Benjamin’s study of tragedy.
    Third literature is [Before the Law] by Franz Kafka. A Countryman waits his entire life before the door of the law to enter the rule of law. For the ‘door’ metaphor blurs and hardly distinguishes the boundary of law and life, the author explores the meaning of tragedy according to Agamben’s theory. This indistinguishable character of law and life signifies the indivisibility of natural and actual laws. This in turn signifies indistinguishable nature of legal and illegal that can raise an issue of the source of law. Biopolitical thoughts of Foucault and Agamben show a comprehensive tragedy of law. As if Jesus closes the door of law, Agamben explains ‘inclusive exclusion’ theory as such a condition where law and life is indistinguishable. By creating the boundary between indivisible natural state and rule of law, the door of law discovers the potential ‘Homo Sacer’ from Antigone’s ‘death within death’, Meursault’s ‘Absurdism’ and ‘state of exception’ in a countryman. The author denominates the reason for discovering ‘hard case’ issues in modern jurisprudence as ‘comprehensive tragedy’ within the context of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