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천법상 공물개념에 관한 비교법적 소고 (La notion du Domain public entre en Coree et en Fr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1.04
26P 미리보기
하천법상 공물개념에 관한 비교법적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2권 / 1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권세훈

    초록

    강을 다루는 문제는 오늘날 사회적 중요성이 더욱 높아진다. 사회적 중요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는 공적 영역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개정 하천법에 의하면 하천의 국유제를 보상비용과 지방재정문제를 이유로 포기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과연 하천을 사유제에서 접근하거나 경제논리로 접근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져본다. 하천이 사적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인가? 우리 하천법에 의하면 이러한 것이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강이나 하천부지에 대하여 소유권의 이전이나 저당권의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유권이나 저당권을 제외한 나머지 권리는 엄격한 공법적 규율의 적용을 받게 된다. 이렇게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지만 사유재산의 경제적 효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국유제를 유지하는 것이 헌법적 차원에서 보다 정의에 더 적합한 것인가? 경제적 가치를 제대로 가지지 못하는 것을 사인에게 소유하도록 하고 공법적 제약만 하는 것은 국가가 떠안아야 하는 공적부담을 사인에게 전가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남긴다.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강의 소유권과 관련하여 비교법적으로 프랑스의 공물이론을 대입해 보았다. 전통적으로 프랑스에서 강은 공물로서 양도불가능성과 시효취득불가능을 가진다. 즉, 국가의 경우에도 강을 양도할 수 없는 대상으로 하고 있다. 공물이론의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왕가에서 절대적으로 낭비하거나 탕진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재산목록을 정하고 왕가의 재산을 보호하는 것에서 공물이론이 출발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국가의 재산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국가의 재산을 공물과 사물로 나누어서 관리하고 있다. 즉 역사적으로 공물이론은 국가의 절대 공적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공적 영역의 대표적인 것이 하천의 영역인 것이다.
    물은 오늘날 과거에 비해서 환경보호나 수자원 부족 및 지속적 개발이라는 사회적 배경 하에서 전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더하면서 공적 영역으로 더욱 가까워졌다. 그래서 프랑스에서도 강에 대한 권리는 공물의 영역에 두면서 국가재산관리체계를 엄격히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나 법 이론적 토대에 비춰보면 강은 공물로서 국가 소유가 소유하여야 되고 양도할 수 없는 대상이 되어야 할 필요성은 높다할 것이다.

    영어초록

    Le problème concernant des fleuves est plus important aujourd'hui qu'avant dans le monde. En Corée, le code de rivre a abandoné le régime de propriété de l'Etat concernant le riviaire en raison de l'économie de l'Etat et le problème de finance des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pour obtenir leur propriété. De ce point, on s'interoge s'il est convenable de rester les berges et les riviaires en propriétés privées et si les berges et les riviaires peuvent devenir des objets d'un marché. Selon le code de rivre en Corée, il semble qu'il est possible, car il prévoit que la propriété de rivre peut ê̂tre dans la main de la personne privée et la personne privée peut avoir prê̂te de l'argent en prenant l'hypothèque de sa propriété de riviaire.
    Mais, selon la théorie du domain public en France, D'après l'article L. 2111-1 du code général de la propriété des personnes publiques, le domaine public d'une personne publique (État,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et leurs groupements, établissements publics) est constitué, sauf dispositions législatives spéciales, de biens qui appartiennent à cette personne publique et : soit sont affectés à l'usage direct du public, soit sont affectés à un service public. Dans ce cas, ils doivent avoir fait l'objet d'un «aménagement indispensable à l'exécution des missions de ce service public».
    Le juge vérifie ces critères lorsqu'il lui faut déterminer si un terrain ou un bien fait partie du domaine public. Ainsi dans l'arrêt Dauphin de 1959[1], le Conseil d'État a estimé qu'une allée avait été incorporée au domaine public parce que : d'une part l'État l'avait affectée à un service public en raison de la présence à cet endroit d'un site archéologique d'autre part les autorités avaient posé deux poteaux et une chaîne pour fermer l'accès à cette allée, ce qui constituait un «aménagement spécial» réalisé spécialement en vue de l'affectation de l'allée à ce service public culturel.
    Le code général de la propriété des personnes publiques a repris cette notion mais en précisant que l'aménagement doit être « indispensable » à la mission de service public : il s'agit de freiner l'évolution de la jurisprudence qui avait tendance à trop étendre le domaine public.
    En comparant entre deux pays, on peut trouver que la propriété des rivres doit faire patie des pesonnes publ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