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버마스의 법이론과 행정법 (Habermas’ Legal Theory and Administrative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하버마스의 법이론과 행정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74호 / 65 ~ 94페이지
    · 저자명 : 김대인

    초록

    하버마스는 ‘공론장’, ‘체계와 생활세계의 구별’, ‘대화’ 등의 개념을 통해 근대사회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노력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법이론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하버마스는 공과 사의 구별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공론장에도 구조변동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도구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체계’는 ‘화폐’와 ‘권력’이라는 두 가지 하위체계로 구성된다고 보면서, 이러한 체계가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생활세계’를 식민지화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 이러한 경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체계와 생활세계를 매개하는 ‘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이러한 맥락에서 ‘행정법’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법이론도 어디까지 독일을 중심으로 한 서구의 법문화를 배경으로 탄생하였기 때문에 이를 우리나라에서 받아들임에 있어서는 좀 더 주체적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버마스의 법이론은 몇 가지 지점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우선 행정법의 영역에서는 도구적 합리성과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대립적인 개념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고 양자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절차주의적 법모델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실체적 정당성 개념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보완된 하버마스의 법이론은 행정법연구에 여러 가지의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첫째, 공법과 사법은 ‘공론장’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상호보완적으로 발전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최대한 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절차법, 행정소송법 등의 절차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비례원칙과 같은 행정법의 기본원리의 적용에서 경제적 분석의 유용성과 한계를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절차적인 정당성뿐만 아니라 실체적인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교법연구가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복지국가의 폐해를 극복하고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사회복지영역에서 회복되기 위해서는 민간의 자율성을 기초로 하면서 국가(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개입수단과 범위를 적절하게 조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Jürgen Habermas critically analyzed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through concepts such as the ‘public sphere’, ‘distinction between system and lifeworld’, and ‘discourse’, striving to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this process, he extensively discussed legal theory. Habermas pointed out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public sphere due to the increasing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 He also warned of the tendency of the dominant ‘system’, characterized by ‘instrumental rationality’, composed of two subsystems: ‘money’ and ‘power’, to colonize the ‘lifeworld’ governed by ‘communicative rationality’. To control this tendenc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w’ mediating between the system and lifeworld, mentioning ‘administrative law’ in this context.
    However, since Habermas's legal theory originated against the backdrop of Western legal culture, particularly in Germany, there is a need for a more critical understanding when applying it in Korea. In this context, there are a few points in Habermas's legal theory that require modification. First,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it is necessary to seek a balance between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communicative rationality, not understanding them as opposing concepts. Additionally, an emphasis on procedural justice in the legal model needs to be complemented through the concept of substantive legitimacy.
    This modified Habermas’ legal theory can provide various insights into administrative law research. First, public and private law should mutually develop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public sphere’. Second, the procedures of administrative law, such as administrative procedural law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should be structured to incorporate ‘communicative rationality’ as much as possible. Third, in the application of basic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re is a need to appropriately balance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economic analysis. Fourth, for securing not only procedural legitimacy but also substantive legitimacy, comparative legal research needs to be diligently conducted. Lastly, to overcome the detriments of the welfare state and restore communicative rationality in the social welfare domain, it is crucial to base autonomy on civil society while appropriately coordinating the intervention means and scope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