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SEC의 증권규제 권한 범위에 관한 연구-Lucia v. SEC 판례에서 행정법판사(Administrative Law Judge)의 헌법상 지위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The Regulatory Scope and Power of the SEC as a Federal Agency ―Focusing on the Constitutional Status Controversy of SEC Administrative Law Judges in the Lucia v. SEC―)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04
46P 미리보기
미국 SEC의 증권규제 권한 범위에 관한 연구-Lucia v. SEC 판례에서 행정법판사(Administrative Law Judge)의 헌법상 지위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증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증권법연구 / 20권 / 1호 / 105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자봉

    초록

    행정법판사는 SEC 증권규제 집행의 근간에 해당하는 제도다. 최근 대법원 판례 Lucia v. SEC는 행정절차법(Administrative Procedure Act of 1946)의 제정 당시부터 시작된 행정법판사의 법적 지위에 대한 논쟁을 마무리하는 판결을 내렸다. 논쟁의 핵심은 행정법판사가 과연 미 헌법 제3조 판사(Article III judge)와 마찬가지로 헌법상 지위를 갖는지 여부였다. Lucia v. SEC는 행정법판사가 헌법 제2조의 임명조항(Appointment Clause)의 적용을 받는 연방공무원이라고 판결하였고, 2018년 대통령 행정명령은 임명조항에 부합하는 임명절차를 갖추도록 명령하였다. 행정법판사의 헌법상 지위에 대한 논쟁은 좀 더 근원적인 논쟁에 연원을 두고 있었다. 즉, 3권분립원칙에 기반한 헌법체계 하에서 과연 연방행정기구가 사법적 권한 및 입법적 권한을 모두 보유하는 것이 헌법상 적법한가에 대한 것이었다. 이 논쟁에 대하여 대법원 판례 Humphrey’s Executor v. United States는 적법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대공황 이후 루스벨트 대통령은 전문행정법원(expert administrative tribunal)을 SEC를 비롯한 연방행정기구 내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규제행정의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행정절차법(Administrative Procedural Act of 1946) 제정 이후 보다 체계화된 행정법판사제도는 SEC의 증권규제 전문성 제고, 법해석 권한의 확대, 제재권한의 확대 등에 기여하였다. 이에 더하여 Lucia v. SEC는 행정법판사제도의 기여를 보다 확장할 것으로 여겨진다. 무엇보다도 SEC는 자신의 전문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행정법판사를 임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규제 전문성이 보다 높아질 것이다. 행정법판사가 헌법 제3조 판사(Article III judge)와 마찬가지로 헌법상의 지위를 갖게 됨에 따라 행정법판사의 일차적 결정(initial decision)은 보다 중대한 혹은 최종적 결정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행정법판사의 법해석 권한이 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루스벨트 대통령 이래 추구되었던 SEC를 비롯한 연방행정기구의 규제 전문성과 독립성의 완성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연방행정기구 유형에 따라 SEC와 같이 헌법상의 적법절차(Due Process)를 실현하는 수단인 소송당사자 중심의 경쟁적 변론절차(adversary system)에 기반하여 심리절차를 주관하는 행정법판사와, SSA(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와 같이 그렇지 못한 행정법판사가 존재한다는 점에 비추어 적절한 제도 보완의 여지는 아직 남아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Lucia v. SEC dissolves the long-standing controversy about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administrative law judges (ALJs) that had been raised since the promulgat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of 1946. The point of the controversy was whether ALJs have the equivalent constitutional status as the Article III judge under the Appointment Clause of Article II. Lucia v. SEC determines that ALJs do have the constitutional status, and 2018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exempts ALJs from the competitive service and appointment procedure under competitive requirement by the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The controversy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ALJs had been originated from more fundamental legal debate: whether the combination of powers by the federal agencies is legitimate under the separation of powers of the Constitution. Humphrey’s Executor v. United States approves its constitutional legitimacy, and thereafter President Roosevelt progressively introduced the expert administrative tribunal as internal structures in the federal agencies for regulatory professions. The expert administrative tribunal system further developed unde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of 1946, and has made contributions to the regulatory professions, law interpretations and regulatory enforcements. Lucia v. SEC will furthermore contribute to expand the regulatory scope and powers of the SEC and federal agencies. However, some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of adversary system by the ALJs across federal agencies such as between SEC and SSA may require appropriate systemic improvement in order to establish a better harmonized ALJs framework with the Constit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