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접정범과 간접정범의 구별 및 자수범에 관한 고찰 - 피해자를 피이용자로 하는 강제추행죄와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Distinguishing between Direct and Indirect Offenders and Eigenhandiges Delik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0.12
25P 미리보기
직접정범과 간접정범의 구별 및 자수범에 관한 고찰 - 피해자를 피이용자로 하는 강제추행죄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21권 / 4호 / 237 ~ 261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초록

    간접정범은 타인을 범행매개자로 이용하여 자신의 범죄를 실현하는 것이므로, 범인 자신이 직접 범죄를 실행해야 하는 자수범(eigenhändiges Delikt)의 경우 간접정범이 성립할수 없다. 그러나, 간접정범이 성립할 수 없는 자수범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자수범의 개념은 간접정범 성립의 한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이다.
    대법원은 강제추행죄를 정범 자신이 직접 범죄를 실행하여야 성립하는 자수범이라고 볼수 없으므로, 처벌되지 아니하는 타인을 도구로 삼아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하는 간접정범의 형태로도 범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간접정범의 피이용자에는 피해자도 포함될 수 있으며, 피해자를 도구로 삼아 피해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추행행위를 한 경우에도 강제추행죄의 간접정범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본다. 강제추행죄는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에초점이 있는 것이며, 행위자의 신체만이 수단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3자를 이용한 간접정범 형태로도 범할 수 있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대상 판례에서 대법원이 강제추행죄의자수범성을 부정한 것은 타당하다.
    간접정범과 직접정범의 구별도 우리 형법상 간접정범이 교사 또는 방조의 예에 의해 처벌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대상 판례처럼 강제추행죄에서 피해자가 피이용자가 되는경우 배후자는 강제추행죄의 직접정범으로 보는 해석도 필요하다. 다만, 직접정범과 간접정범의 구별에 관한 이론에 비추어 보면, 대상 판례에서는 피해자인 피이용자의 행위를 맹목적인 인과요소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배후의 이용자가 강제추행죄의 간접정범이 된다고 판단한 대법원 판례의 입장은 타당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제추행죄의 간접정범에 관한 대법원 판례와 관련하여 먼저, 강제추행죄가 자수범에 해당하는가를 검토하면서 자수범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직접정범과간접정범의 구별 기준을 살펴보면서, 대상 판례처럼 피해자가 피이용자가 되는 2자 구조에서 배후자를 간접정범이 아닌 직접정범으로 볼 수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Indirect crime is to realize one's criminal act by using another person as an agent,with the proviso that an indirect principal (Principal through an Inocent Human Agent)canot be established in the case of eigenhändige Delikte crimes (ofences that can onlybe directly commited by the principal), such as perjury. However, there is controversyover the concept and scope of eigenhändiges Delikte crimes, which is an important isuewith regards to the establishment and limitations of indirect crimes.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termined that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canot be regarded as an eigenhändiges Delikt (where the ofender has to cary out thecrime by himself). The Court held that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can alsobe commited in the form of an indirect crime in which victims are forcibly molestedby others who are not otherwise punishable. In aditon, the inocent agent of anindirect crime may include a victim, and even if the victim is used as the inocent agentto molest the victim's own body, the act may constiute an indirect crime of indecentact by compulsio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focused on the victim's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the violation of which may by means other than that of the ofender’s body, such that it can also be caried out in the form of an indirectcrime using a third party as an instrument. Therefore, it was reasonable that the SupremeCourt of Korea held that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not an eigenhändigesDelikt.
    The distinction betwen indirect and direct crime is also important in that under theKorean criminal law, indirect crime is punishable through acomplice liabilty.
    Consequently, if a victim becomes an inocent agent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compulsion, the actor behind the crime is generaly regarded as the direct principal of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However, in this case, it is hard to say thatthe victim's act is not a direct causal factor. Consequ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sdecided that the ofender behind the crime is the indirect principal of the crime ofindecent act by compulsion.
    In this paper, the author first explores, with respect to the Korean Supreme Court'sdecision on indirect principal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 meaningof eigenhändiges Delikt,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crime of indecent act bycompulsion. In aditon, by focusing on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n direct andindirect principals, the author reviews whether the person behind the crime could in thealternative be regarded either as a direct principal, and not as an indirect principal,respectively, in which the victim becomes an inocent agent, as in the Supreme Court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