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凡父 金鼎卨의 『東方思想講座』와 東方學에 대한 기초적 검토 (A basic review of Beombu Kim Jeong-seol’s Eastern Thought Lecture and Eastern Studi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1.09
33P 미리보기
凡父 金鼎卨의 『東方思想講座』와 東方學에 대한 기초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62호 / 273 ~ 305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초록

    이 논문은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 1897-1966. 향년 70세)(이하 범부)의『동방사상강좌(東方思想講座)』와 동방학(東方學)에 대해 기초적인 검토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여러 방면에서 범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의 생애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동방사상강좌』에 주목하고, 그의 동방학의 성격 및 내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한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범부의 ‘동방사상강좌’ 및 여기서 논의된 ‘동방학’의 실체를 건국대학교 부설 「동방학연구소」(1956년 설립)에서 진행된 이른바 ‘동방사상강좌’(제1강 1962년 9월 8일 시작) 13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범부의 ‘동방사상강좌’에 대해서는 <설립 목적, 경위>와 <강의의 내용>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범부의 ‘동방사상강좌’는 한국학 구축의 일환으로서 ‘동방학’의 특징을 새롭게 규정하고, 제시(천명)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범부가 제안한 동방학은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과 의미를 갖는다.
    첫째, 범부의 ‘동방학’ 구상은 서방(西方)에 대항하고, 한계에 직면했다고 판단된 서방을 동방의 사상과 문화로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서양의 ‘물질-기계’로 인한 ‘인간의 상실’에 대한 ‘위기감’에서 출발한다.
    둘째, 범부가 말하는 ‘동방’이란 한반도의 사유와 문화의 범위를 넘어서서, 중국(동이족 포함), 몽골, 시베리아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해양보다는 대륙 쪽에 종점이 놓여있다.
    셋째, 범부의 동방학 강좌는 기본적으로는 동방사상문화의 특징을 ‘음양’(유무도 포함)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인식ㆍ파악하는 방법론으로서 직관(直觀). 나아가 즉관(卽觀)이라는 새로운 지(知)의 기법을 제시한다. 음양이라는 동방적 사유는 즉관에 의해 자연만물의 상(象. 이미지)을 캐치한 방법(=取象法)이라고 한다.
    네째, 범부는 동방적 사상과 사유를 ‘순수, 고유’한 유형을 고층(古層)으로서 상정하고 그것이 현재로 전개한다는 식의 설명방식을 택한다. ‘고층→현대’라는 방식은 동방학의 시공간적 전개를, 어떤 전형이 있고 그것이 현재에까지 계승된 결과로서 보는 이른바 아키타이프 방식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범부의 ‘동방사상강좌’에서 살필 수 있는 새로운 한국학으로서의 ‘동방학’은 동서양철학을 포함하여 한의학, 건축학, 국어학, 국악 등의 방면에서, 아울러 당대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인물들(신채호, 최남선 등)의 역사관, 인문지리학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view on the Dongbang- sasang-gangjoa(東方思想講座. Eastern Thought Lecture) and the Dongbang-hak(東方學. Eastern Studies) by Kim Jeong-seol.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because the studies on the Dongbang-sasang-gangjoa and Dongbang-hak, which is the core of his life, has not been paid attention, although research on the general public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Kim’s 13 lectures Dongbang-sasang-gangjoa were held at Dongbang-hak- yeonguso(東方學硏究所. Eastern Studies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in 1956, of Keongug University. The lecture was held for about 3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1962. This study focuses on these lectures. In this study, the purpose and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ectures, as well as the form and content, were separately explained.
    Beobu’s lectures were a means of establishing his Korean studies. He tried to define and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Studies anew.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Eastern Studies suggested by Beombu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Lecture on Eastern Thoughts’ by Beombu is intended to newly define and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Education’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Korean studie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Eastern Vacations proposed by Beombu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 of Eastern Studies by Beombu was to oppose the West. He judged that Western civilization at that time was facing its limit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respond to the crisis of the West with the ideology and culture of the East. More fundamentally, Beombu start from the crisis about the loss of human beings caused by the material and machine of the West.
    Second, the East in Beombu’s terms goes beyond the scope of thought and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includes China, the Dongi people, Mongolia, and Siberia. It has an endpoint on the continent rather than the ocean.
    Third, Beombu’s Eastern Studies basically view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ideological culture as Yin-Yang(including presence and absence). In addition, a method to recognize and grasp it, a new technique of knowledge called Jikguan(直觀. Intuition), Jeukgan(卽觀. get it as it is), Chosangbeop(取象法. Get an image of an object).
    Fourth, Beombu assumes Eastern thought as ancient, pure and unique, and then it develops into the present, so this is a kind of archetype.
    Finally, it is presumed that Beombu’s Eastern Studies was influenced by and exchanged with the figures, for example Shin Chae-ho, Choi Nam-seon, etc.;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in relation to their view of history and human geography. Beombu’s Eastern Studies, as a new Korean studies, is newly illuminated and has the justification to be discussed, from the fields of Oriental medicine, architectu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music, including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