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압적 통제의 정의와 적용범위에 대한 연구 (Understanding Coercive Control: Analyzing Its Definition and the Extent of Its Integration into Criminal Justice Polic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1
44P 미리보기
강압적 통제의 정의와 적용범위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정책 / 35권 / 4호 / 167 ~ 210페이지
    · 저자명 : 안재경

    초록

    강압적 통제란 피해자에게 신체적, 언어적 폭력, 경제적 압박 등의 수단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도록 조종하는 행위로, 종종 가스라이팅과 혼동되나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Stark(2007)에 의해 처음 제시된 위 개념은 주로 친밀한 관계나 배우자 간 폭력에서 피해자의 자유와 의지를 억압하는 행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어왔다. 강압적 통제의 심리적 기제는 다양한 사례와 맥락에서 피해자-가해자 사이에 발생하는 행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압적 통제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실무적 관심은 주로 기존의 형법적 개념에 따른 ‘친밀한 관계 속 남성의 여성에 대한’ 젠더불평등적 관점에 집중되어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압적 통제 개념을 다른 범죄유형과 대상의 수단으로 확대하여 이해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형사사법기관이 학대 맥락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일부 특정 피해자 유형과 범죄맥락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문헌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 강압적 통제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며, 국내의 경우 주로 젠더폭력 문제의 차원에 집중되어 연구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혼재되어 있는 강압적 통제의 개념과 속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강압적 통제의 심리적 기제가 이성애적 관계뿐만 아니라 애정과 의존성을 이용하는 관계들(예: 부모-자녀, 동성애적 관계)과 젠더폭력 외에 착취를 목적으로 하는 범죄맥락(예: 인신매매, 사기 등)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검토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압적 통제 개념을 명료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연구와 실무적 적용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했으며, 실무적 그리고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coercive control,” which involves manipulating a victim's actions through means such as physical, verbal violence, and economic pressure, is often confused with gaslighting but is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Initially introduced by Stark (2007), this concept has primarily been used to explain acts that oppress the freedom and will of victims in intimate or spousal violenc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ercive control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victims and perpetrators in various cases and contexts. However, the existing academic and practical attention to coercive control has largely remained within the gender-imbalanced perspective of 'men's control over women' in intimate relationships, based on traditional criminal law concepts. This research argues for the ne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oercive control as a means in different types of crimes and contexts.
    This expansion could enable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to achie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abuse and reduce misconceptions and biases towards certain types of victims and crime contex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studies on coercive control are limited and focused predominantly on the dimension of gender violence. This study aims to clearly identif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ercive control, present in various contexts.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ercive control not only in heterosexual relationships but also in relationships exploiting affection and dependency (e.g., parent-child, homosexual relationships) and in criminal contexts with the purpose of exploitation (e.g., human trafficking, fraud).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and concretize the concept of coercive control,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and has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