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험범의 판단기준 (Criteria for Determining of Abstract Endangering Offen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위험범의 판단기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26권 / 4호 / 355 ~ 390페이지
    · 저자명 : 윤상민, 유원태

    초록

    개별 범죄들의 보호법익을 결정하고 보호법익의 보호정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 가는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형법교과서에서는 지엽적인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보호법익의 보호정도를 침해범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위험범으로 볼 것인가, 위험범 으로 본다면 구체적 위험범으로 볼 것인가 추상적 위험범으로 볼 것인가는 피고인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즉 침해범으로 보느냐 아니면 위험범으로 보느냐에 따라 유‧무죄가 갈리게 되며 또한 기‧미수로도 갈리게 되고, 구체적 위험범으로 보느냐 추상적 위험범으로 보느냐에 따라서도 마찬가지이다.
    법익의 보호 정도는 결국 범죄라는 공격의 강도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침해범의 경우에는 범죄라는 공격이 보호법익의 실재적인 가치의 손실이라는 것이 전제되어 있지만 이에 대응하는 위험범은 위험상태의 초래만을 요구한다. 침해범과 위험범에 대한 구별은 입법자가 입법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순수하게 해석의 영역에 맡겨져 있다. 결국 학설이나 판례에 위임되어 있는데, 그 기준이 무엇인지가 여전히 확정되어 있지 못하고 꾸준히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위험범은 구체적 위험 범과 추상적 위험범으로 구별되기 때문에 특히 ‘위험’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문제가 된다.
    판례는 위험범을 인정하면서도 추상적 위험범이라는 용어는 직접 사용하고 있지만 구체적 위험범이라는 용어는 사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막연히 위험범이라고만 인정한 범죄도 있어 이 범죄가 구체적 위험범을 말하는지 아니면 추상적 위험범을 말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판례가 위험범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그 개념을 명확하게 할필요가 있다. 막연하게 법관의 해석을 통해 가벌성을 확대시키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에 반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위험사회가 도래하면서 위험범을 인정하는 경향이 확대 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방안 더 강구되어야 할 때이다.

    영어초록

    Determining the legal interests protected by individual crimes and assessing the degree of such protection is a highly complex issue. While criminal law textbooks often treat this as a peripheral matter, whether to classify an offense as an injury-based crime or a risk-based crime—and, if a risk-based crime, whether to view it as a concrete or abstract risk offense—is of critical importance to defendants. This classification can determine guilt or innocence, as well as whether the act constitutes a completed crime or an attempt. Similarly, whether the offense is deemed a concrete or abstract risk offense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degree of protection afforded to legal interests corresponds to the severity of the criminal threat. Injury-based crimes assume a tangible loss of the actual value of the protected legal interest, while risk-based crimes require only the creation of a state of risk.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injury-based and risk-based crimes is not explicitly legislated, it falls entirely within the domain of interpretation. Consequently, this issue has been entrusted to legal theory and case law, and the criteria for distinction remain unresolved and subject to ongoing debate.
    In particular, risk offenses are further divided into concrete and abstract risk offenses, raising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constitutes "risk." Case law often acknowledges risk offenses, explicitly using the term "abstract risk offense" but avoiding the term "concrete risk offense." Additionally, some offenses are vaguely classified as risk offenses without specifying whether they are concrete or abstract, creating ambiguity. It has been observed that courts mix factual assessments—reflecting the objective circumstances of an act—with normative judgments when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risk. This approach highlights the need for a clearer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risk offenses.
    Expanding punishable conduct through vague judicial interpretation risks violating the principle of legality (nullum crimen sine lege). As modern society increasingly recognizes and responds to risks, the tendency to expand the scope of risk offenses has grown. This trend underscores the urgent need for measures to regulate and clarify this area of law.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lear and consistent criteria for defining and interpreting risk offenses to balance legal interest protection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Enhanced clarity in bot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judicial decisions is necessary to prevent the arbitrary expansion of punishable conduct. In an era characterized by heightened societal risks, there must be a robust legal framework to regulate and define the scope of risk offenses appropria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