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梵鍾의 銘文分析과 梵鍾 佛事의 所任 (A study of the Inscription Analysis and the Duty for the Event of Making for the Buddhist temple bell of Buddhist temple bell in the Joseon Dynast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4.07
47P 미리보기
朝鮮時代 梵鍾의 銘文分析과 梵鍾 佛事의 所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9호 / 257 ~ 303페이지
    · 저자명 : 정문석

    초록

    한반도에서 제작된 범종은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 범종을 시작으로 종신이나 천판에 명문이 표기되어, 범종의 제작 배경과 신앙성을 살필 수 있다. 명문은 밀랍주조법, 선각법, 점각법, 문양판법 등의 제작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기법에 따라 시기적인 흐름과 특징이 확인된다. 조선시대에 제작된 범종은 이전 시기 비해 명문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나, 제작 배경이나 사상적인 내용은 대부분 생략되었다. 15세기 왕실발원종은 다양한 명문 내용을 담고 있어, 당시 범종에 대한 인식과 불교 신앙의 단면을 살필 수 있다. 16세기 범종의 명문은 실제 범종 불사와 관련된 내용이며, <갑사종>의 명문을 통해 망궐례 등이 민간에서 시행되었음을 처음으로 제시하여, 조선 전반기 불교용 패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밖에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안국사명백자종>의 존재를 처음으로 제시하여, 해당 작품의 명문분석과 조선시대에 조성된 범종 재질의 다양성 및 봉안용 범종 제작이 조선시대에 제작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조선 후반기에는 범종의 발원주체가 소수의 귀족에서 다수의 민중으로 변화함에 따라 시주질을 일일이 기록하였지만, 신앙 내용은 ‘극락왕생’처럼 간단히 기록하거나 진언을 한자로 명시하여 대체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17세기에는 품목시주 및 시주자 간에 다양한 명칭 등 특징적 경향이 확인되며, 속인과 승려 등 시주자 간에 위계를 두었다. 18세기 이후 점차 범종 불사 소임의 지칭 명칭이 단순화되지만, 사찰계가 등장하는 점은 특징적이다.
    주종장의 직급명(職級名)의 경우 15세기의 왕실발원종은 다양한 관장들이 주종소 소속의 장인이며 세분화된 직급을 명시하였다. 16세기의 경우 승장은 화원(畵員), 사장은 주공(鑄工)이라는 명칭으로 양분되었다. 17세기에는 승장과 사장 모두 화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승장은 화원을 주로 사용하고 사장은 편수(片手)나 양공(良工)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였다. 직급명은 17세기 주종장들이 통정대부(通政大夫)와 절충장군(折衝將軍) 등과 같은 정삼품에 해당하는 명예 관직을 동시기 여타 장인들보다 이르게 하사 받아, 당시 주종장의 사회적 입지가 높았다고 판단된다. 18세기에는 승장의 활동은 미약해지는 반면, 사장의 활동은 활발하였는데 승장은 화원이라는 명칭을 사장은 편수나 양공이라는 명칭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편수(道片手)나 상편수(上片手) 등 장인들 간에 엄격한 위계질서를 상징하는 직급명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그리고 18세기도 주종장이 명예 관직을 하사받았지만, 17세기보다 품계가 높은 정이품에 해당하는 가선대부(嘉善大夫)도 하사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당대 주종장의 입지가 살펴진다.
    조선시대 범종의 명문분석을 시도하여 시기별 신앙성과 제작 배경에 따른 각 범종 불사의 소임을 살펴보고 품목시주, 사찰계, 시주자 간 위계 등 당시의 시대상황과 특징을 조명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주종장의 직급명을 살펴보는 시도는, 당대 주종장의 입지가 높았음을 상기시킨다. 끝으로 본 연구가 향후 한국범종사 및 불교공예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시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다.

    영어초록

    The first type of Korean-Buddhist bell was originated from the Shil-la Dynasty. It is possible to know this by the looks and process of how it was made. There are several ways that have paved the way for the masters to do. To be more specific, a wax casting process, hull process, stipple process, pattern paneled process and other methods were used in this era. The methods have changed little by little throughout the time and different cultures mixed from dynasty to dynasty. However, at the Joseon dynasty, the style of making bell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containing meanings and background of why a bell is made for. In 15th century, Royal Buddhist temple bell has quite features that show Bhuddism.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of the Buddhist temple bell of 16th century were related of real process of the Buddhist temple bell, and through the inscription of <Gabsa temple bell> it suggests first that Manggwollye was carried out among the common people and surmises the Buddhist card existed at the first of the Joseon dynasty. Other than those mentioned above, the existence of <White porcelain temple bell of written Anguksa> shows the evidence that Bhuddhism bell were produced in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bells were shifted from the noble people to mid level class people. Words such as ‘A gentle and easy death,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and other religious words were inscribed on the surfaces of bells. In 17th century, laymen and monks had clear boundary that shows a hierarchy. And the designation became little simpler, the tepmple community had appeared to maintain this simpler mode though. In the 16th century, Monk bell master was given the name of the Hwawon, and Private bell master was given the name of Jugong. Both of Monk bell master and Private bell master used the name of the painter of Painting bureau. However, mostly Private bell master called Pyeonsu or Yanggong as well. The appellation of the master shows the masters’ social position, the position was highly ranked at that time, because the bell masters were conferred the post of honor, a similar position to the 3rd position such as dignitary of Tongjeong-daebu and General of Jeolchung early than other contemporary masters in the 17th century. However, the activity of Monk bell master was not very viral when Private bell master was active to do their work in the 18th century. Monk bell master used the name of the painter of painting bureau for a number of times when they used Yanggong, very rarely. This basically portrays that there was a strict rules between their positions of Do-Pyeonsu and Sang-Pyeonsu. Besides, the bell master received the bureau honor called dignitary of Ga seondaebu, which was as high as the position of Jung ipum. By examining the bhuddist bells in the Joseon dynasty, it is possible to know the particular cultures and situations such as the offering of items, the tepmple communit, offers and others of the era. Furthermore, to study the name of the bell master, it asserts that the position of the bell master was highly recogniz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o conclude, I hope that this essay becomes a touchstone for you all to understand the crafts for Bhudd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