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둔벌의 근대농학 교육과 과학기술 전개 (Outrunning of Modern Agricultural Education and Technology in Seodun-Fiel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0.06
40P 미리보기
서둔벌의 근대농학 교육과 과학기술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업사연구 / 9권 / 1호 / 97 ~ 136페이지
    · 저자명 : 구자옥

    초록

    한국의 근대농업교육은 1895년 고종의 교육조서로 태동된 대한제국 농상공부의 상공학교(1899. 6.), 동 농상공학교(1904. 6.), 동 농림학교(1906)로 부터, 조선총독부 농림학교(1910), 동 농림전문학교(1918), 동 고등농림학교(1922)와 후기 동 농림전문학교(1944)로 일관되게 이어져 왔고, 오늘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1946. 10. 15.)은 서울 수진방 재용감과 성수동의 뚝섬 및 수원의 서둔벌에 자리하여 일관되게 나라의 농학교육을 이루어 온 총본산이다. 100여년의 역사와 전통을 통하여 서둔벌의 농학교육이 이룩되어 온성과와 교육 전개의 내력을 살펴보면(광복 이후는 배제) 대략 다음과 같다.
    서둔벌 위치 선정의 배경: 수원 서둔벌은 지정학적으로나 풍수적으로, 또는 정조대왕의 농업입국 정신을 받드는 입장이나 위치선정 당시의 농업환경적 입장에서 타당한곳으로 판단된다. 특히 농사시험기관인 권업모범장과의 근접연계성은 현실적이며 능률적이었다.
    한국의 근대농업교육 시작은 1895년과 1899년 고종의 교육칙서에서 시작되고 뚝섬에서 수원으로 옮겨져 수많은 명칭으로 변신되어 오늘에 이르렀지만 고종황제와 순종의칙서에 담긴 내용을 받들어 학교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 왔다. 국가적ㆍ민족적으로 대표되는 농업ㆍ농학교육의 장으로 그 정통성을 유지해 왔다.
    일제강점기의 서둔벌 농학교육에 대한 일제의 의도나 한인 지식층의 의도는 한결같이 농림교육을 고등화ㆍ전문화된 교육기관으로 진화시키는 데 있었고, 현실적으로 그렇게 진화되어 왔으나 양국측이 같은 의도였음에도 내면적으로는 동상이몽이어서 일본측에는 부정적인 문제덩어리로 커 왔고 한국측에는 기대 이상의 귀중한 독립정신과 애국문화를 고취시켜 올 수 있게 커 왔다. 이런 양극화 동기는 일인학생의 입학과 점유비율증대를 수반하는 공학제 허용으로 비롯된 것이었다.
    서둔농학의 얼과 상록수운동을 위시한 젊은 학생들의 항일 저항운동과 야학운동ㆍ고농항쟁 등은 고등전문인력들이 애국ㆍ애족 정신과 농학(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서둔벌 항쟁의 전통문화를 창조하고 역사적으로 전례가 드문 사례들로서 민족혼을 지키고발현시킨 상록수정신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에 잘 묘사되어 있으며, 이런 까닭은 주인공 채영신을 실제인물의 모델로 내세웠던 데 있고, 이 소설의 내용은 동아일보가 창립 15주년 기념행사로 모집ㆍ당선시켜 연재하였던 바 있다.

    영어초록

    Modern agricultural education of Korea has oriented by the Royal ordinance of Emperor Kojong, Choseon dynasty(1895), and started by establishment in order of Sangong School(商工學校, 1899. 6), Nongsangong School(1904. 6), and Nonglim School(1906), respectively.
    This school was continually changed into newly upgraded and advanced level of education,namely as Nonglim S.(1910), Nonglim Professional S. (1918), High Nonglim S. (1922), and later Nonglim Professional S. (1944). On this respect,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1946. 10. 15), Seodun-field, Suwon should be counted as the original home and main head campus of Korea agricultural education Seodun-field as a Campus location?Considering the geopolitical and geomantic characteristics of Suwon, and the socio-economic reformation spirits of Emperor Jeongjo, the location choice of Nonglim school at seodun-field of Suwon would be supported as practically and efficiently responsible. Specially, neigboring with Head Experiment St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Kwonupmobeomjang, 勸業模範場]was also one of a logical consequence for the School to be located at seodun-field, Suwon.
    Orthodoxy of the School?The School, even changed many times in education systems, had observed its historical and conventional notion of agricultural mission released from the Emperor Kojong’s Royal ordinances. such a consistant achievement could be spoken for the School to held his own position keeping the legitimation qnational education-spirit Upgrading of the School?The systemic phase of the School had continually upgraded by political intension of not only Japanese Imperials but also Korean intellectuals. However the advancing and professionalizing of the School was resulted nothing but a negative dream of colonization policy for Japanese Imperials, and for Korean peoples, really positive phase change for higher and strong power of young students to release devotion for their country and people. Such a both two extremes were resulted from the Japanese education policy to promote the School entrance rule and to increase the ratio of Japanese in enrolled students.
    Sangroksu spirits and resistance of Korean students?Originally and fundamentally, Korean student-power oriented from the same dormitory [Dongryo] could be rather easily and unifically activated their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Japanese Imperials, such as Sangroksu campaigns [a mass-education drive], teaching a night class [around the near villages of the School], and Konong-student’s resistances [mainly 3times events for Korean students of the High Agricultural School to directly and nationwidely lead the resistance way], respectively. As well presented in Shimfun’s novel “Sangroksu”,Korean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Dongryo] would be applauded as heroes who create the advanced resistance culture depending on their professional resistant movements against as an systematic aggressors, Japanese Imp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업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