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History of Korean Bible Translation and Its Controversies: Focusing on the Title of Psalm 7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3.07
26P 미리보기
History of Korean Bible Translation and Its Controversies: Focusing on the Title of Psalm 7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29호 / 37 ~ 62페이지
    · 저자명 : 서재덕

    초록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history of Bible translation both worldwide and in Korea, summarizes the arguments of Korean Bible scholars, and analyzes the translation of the headword of Psalm 7 in early Korean Bibles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asons for Bible translation varied in each period. Notably, with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world in modern times, the Bible has been rapidly translated into various languages, often driven by missionary motives. These characteristics also apply to the history of Korean Bible translation. The first Korean Bible only appeared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since then, numerous Korean versions have been published, indicating a significant growth in the Bible academic community in Korea.
    However, even in this extensive history, there is a point of contention regarding the ability of early Korean Bible translators to accurately translate the original Hebrew and Greek texts into Korean. In examining the translations of the three early Korean Bibles for the headword of Psalm 7, four distinct characteristics emerge, shedding light o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Korean Bible translators. First, there is a discrepancy in the translation of the word שגיון. SP translates it as “poetry,” while KB translates it as “a sad song.” On the other hand, KRV translates שגיון as “식가욘/shiggaion,” understanding it as a Hebrew proper noun. The second characteristic pertains to the translation of ,בן־ימיני which has two different translations. SP translates it as “sons of Yemin,” while both KB and KRV translate it as “Benjaminite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style of translation. Both SP and KB employ narrative sentences, whereas KRV uses a narrative-remodeled style. This style of translation in KRV continues in subsequent versions, such as the later Korean Revised Version (1952) and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Finally, the fourth characteristic concerns the word order in the three versions.
    Based on these textual fragments of evid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arly Korean Bible translators were sufficiently capable of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of the B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