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대학교육의 공정경쟁을 위한 법정책적 논의 — 대학온라인교육통합에 따른 사이버대학의 차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al Policy for Fair Competition in Online Universi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Discrimination of Cyber Universities Due to the Integration of University Online Education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온라인 대학교육의 공정경쟁을 위한 법정책적 논의 — 대학온라인교육통합에 따른 사이버대학의 차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0권 / 1호 / 185 ~ 212페이지
    · 저자명 : 윤진아, 양재모

    초록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은 대학교육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이버대학 등 원격대학에서 주로 이루어졌던 온라인 교육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비대면 수업의 확대로 인해 일반대학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일반대학에서의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확대는 특히 사회・경제・건강 여건상 비대면으로 대학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학생들에게는 강의 접근성과 편리성의 증대라는 이득을 가져다주었다. 2022년부터는 사이버대학 등의 원격대학에서 주로 제공하던 온라인 교육과정을 일반대학에서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일반대학에서는 학위 취득과 자격증 취득이 연계된 전공이나 정원 관리가 필요한 전공(학과)은 온라인 학위과정으로 운영할 수 없으나 석사과정 및 국내대학과 외국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전문)학사과정은 운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문제는 사이버대학의 특수대학원은 오프라인대학(일반대학)의 특수대학원과 동일한 목적으로 설립・운영함에도 불구하고 인가절차에 관하여는 오프라인 특수대학원에 비해 상당히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대학 특수대학원의 설립기준과 오프라인대학 특수대학원의 설립기준에 관한 규정을 헌법상 교육평등권에 반하지 않고 목적을 실현하는 데 적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202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은 대학 등의 원격교육에 관한 기본적 사항과 원격교육 시 교육기관의 책무 및 이에 대한 국가 등의 지원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교육기관에서 양질의 원격교육이 제공되는 데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원격교육 기관들에 대한 통일적인 정책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온라인 대학교육의 통일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관련 규정의 일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온라인 대학교육규정이 일원화되면 관련 정책들도 일원화될 수 있고 관리감독기구 역시 함께 일원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Online education, which was mainly conducted in remote universities such as cyber universities, has expanded to general universities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class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is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in general universities has provided benefits of increasing lectu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especially for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live non-face-to-face college life due to social, economic, and health conditions, to increase access to lectures and convenience. From 2022, general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operate online curricula that were mainly provided by remote universities such as cyber universities. In general universities, major (department) that requires degree or qualification management cannot be operated as an online degree course, but master's courses and (professional) bachelor's courses jointly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can be operated. The problem is that even though special graduate schools of cyber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same purpose as special graduate schools of offline universities (general universities), the approval process is quite strict compared to offline special graduate school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standards of special graduate schools of cyber universities and special graduate schools of offline universities to be suitable for realizing the purpose without going against the right to educational equality under the Constitution.
    The “Basic Act on Revitalizing Digital-Based Remote Education,”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2022, aims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remote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setting basic matters on remote education such as universities, responsibiliti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pport. However, a unified policy for various remote education institution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For the uniform implementation of online university educa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unify related regulations. If online university education regulations are unified, related policies will be unified, and management and supervisory organizations will also be un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