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전환 시대 사이버 안보법의 공법적인 의미— 독일법의 규율을 중심으로 — (Die öffentlich-rechtliche Bedeutung des IT-Sicherheitsrechts in einer Epoche der Digitalisierung — fokussiert auf Regelungen des deutschen Recht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12
23P 미리보기
디지털 전환 시대 사이버 안보법의 공법적인 의미— 독일법의 규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6권 / 4호 / 511 ~ 533페이지
    · 저자명 : 선지원

    초록

    인류 생활의 각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과 ICT 기술의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개념들 앞에 “디지털” 혹은 “사이버”라는 수식어가 붙게 되었고, 안보의 영역도 예외는 아니다. 사이버 안보라는 개념은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나타난 기존의 안보 개념에서의 모든 요소들이 사이버적 속성을 띠게 된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사이버 안보가 공법적인 의미에서 문제되는 것은 세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사이버 수단을 이용한 테러 혹은 사이버 공간에 대한 침해 등을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둘째, 치안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사이버 수단을 이용하여 각종의 일반적인 안전 정책을 수행하는 방안과 이를 위해 데이터 및 각종 신기술 이용을 촉진하는 측면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져오는 리스크들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의 문제 역시 사이버 안보 차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방헌법재판소가 도출한 이른바 IT 기본권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독일의 사이버안보 법제 역시 위와 같은 세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사이버 공격 혹은 사이버 공간에 대한 침해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사이버 안보 관련 규율은 독일의 법제가 가장 많은 규율을 할애하고 있는 영역이다. 형법전상의 사이버 범죄 규정을 비롯하여 각종의 개별법들이 사이버상의 침해에 대한 보호 규정을 두고 있다. 둘째로 사이버 수단의 이용과 관련한 안보에 대해서도 규정들이 존재한다. 연방행정절차법을 비롯한 각각의 법률들이 행정 영역에서 사이버 수단을 사용할 때의 보안상 안전조치에 관한 의무를 공적 주체에게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전환의 역기능 대처 차원에서의 규율은 주로 개인정보보호법제와 데이터 거버넌스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사이버 안보의 규율들이 실제 행정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세부적인 모습을 살펴보고, 각각의 분야별로 그리고 실행 단계별로 세부적인 법적 쟁점을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위에서 살펴본 사이버 안보의 세 가지 범주에서 모두 독일법은 디지털 전환과 ICT 기술의 도입에 따른 변화와 관련하여 안전 측면에서 우리 법제가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주고 있다. 특히 사이버 안보법은 기본적으로 경찰행정법의 성격을 갖고 있어 안보의 목적 달성과 시민의 기본권 사이에 비례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 비례 원칙의 준수를 위한 독일법의 고려와 논의들은 우리의 사이버 안보 법제에도 참고할 만하다. 또한 최근 독일의 사이버 안보 규율들이 도입하고 있는 민관협력의 형식 또한, 사이버 안보의 효율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이다.

    영어초록

    Da die Digitalisierung und der Einsatz der ICT-Technologie in jedem Bereich des menschlichen Lebens immer häufiger vorkommen, versehen die verschiedenen Konzepte die Formel “Digital” oder “Cyber”. Dies gilt auch für den Bereich der Sicherheit. Beim Konzept der IT-Sicherheit sind alle Elemente des bestehenden Sicherheitskonzepts mit dem Beginn der neuen Epoche der Digitalisierung zu Cyber-Typen geworden.
    Im Rahmen des öffentlichen Rechts ist die IT-Sicherheit bei den folgenden drei Aspekten in Betracht zu ziehen. Zunächst geht es um eine Frage, wie der Cyber-Angriff oder der Angriff gegen den Cyber-Raum vermieden werden kann. Darüber hinaus ist es zu berücksichtigen, die konventionelle Sicherungspolitik durch die Förderung der Verwertungen der verschiedenen Daten und der neuen Technologien bei der Digitalisierung zu entwickeln. Schließlich handelt es sich um die Kontrolle der Risiken der Digitalisierung auf der IT-Sicherheitsebene.
    In Deutschland besteht das IT-Sicherheitsrecht auf einer Basis der von Bundesverfassungsgericht konstruierten sog. IT-Grundrechte, das auch in drei Kategorien aufgegliedert werden kann. Der deutsche Gesetzgeber widmet die meisten Regelungen des IT-Sicherheitsrecht für die Reaktion gegen den Cyber-Angriff bzw. den Angriff in das Cyber-Raum. In diesem Zusammenhang bestehen Regelungen über die Cyber-Kriminalität im Sinne des StGB sowie Schutzklauseln aus verschiedenen Ordnungen. Daneben gibt es Sicherheitsregelungen in Bezug auf die Anwendung der Cyber-Mitteln. Besondere Gesetze einschließlich des VwVfG verpflichten dem öffentlichen Träger Sicherheitsmaßnahmen bei der Einführung der elektronischen Mitteln in die öffentliche Verwaltung. Zum Beschluss findet die Regelung für die Bewältigung der nachteiligen Funktionen der Digitalisierung als Datenschutz sowie -governance statt.
    Es ist erforderlich, anzusehen, wie IT-Sicherheitsregelungen in der Praxis der Verwaltung angewandt werden, damit rechtliche Streitpunkte für jeden Sektor oder jede Ausführungsstufe eingehend aufzustellen sind. In vorhandenen drei Kategorien enthält das deutsche Recht Implikationen, die der koreanische Gesetzgeber im Hinblick auf die Digitalisierung und die Änderungen aufgrund der Einführung der ICT-Technologie berücksichtigen sollte. Nicht zuletzt hat IT-Sicherheitsrecht die Natur der Eingriffsverwaltung, folglich ist die Verhältnismäßigkeit zwischen der Erreichung des Sicherheitszwecks und den Grundrechte der Bürger zu beachten. Diskussionen um die Verhältnismäßigkeit im deutschen IT-Sicherheitrecht können für die Studie über das koreanische Recht beigezogen werden. Dazu ist eine Form der öffentlich-privaten Partnerschaft im deutschen IT-Sicherheitsrecht erwägenswert, durch die Effizienz und demokratische Gerechtigkeit der Sicherheitsaufgaben veredelt werden könn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