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국가실행을 통해 비춰본 국제법상 무력 사용으로서 사이버 오퍼레이션 (Cyber Operations as the Use of Force in International Law: Recent developments in state practic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최근 국가실행을 통해 비춰본 국제법상 무력 사용으로서 사이버 오퍼레이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4권 / 4호 / 97 ~ 126페이지
    · 저자명 : 박주희

    초록

    기술 발전을 통해 사이버공간이 등장하고 그 이용이 확대되어 사이버공간에 대한 의존 도가 심화되면서 군사적 이익을 취함에 있어 사이버공간은 매력적인 수단이자 표적이 되 었다. 이렇듯 기술적 환경이 변화하자, 국가들은 무력 사용을 규율하는 jus ad bellum이 사이버공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무력 사용의 개념 을 사이버 오퍼레이션에 적용하는 세 가지 접근법이 나타나고 있으나 모두 완벽히 만족스 럽지는 않다. 먼저 ‘무기’의 성격을 중심으로 국제법상 금지되는 무력 사용 여부가 결정되 는 수단 중심적 접근법은 사이버 오퍼레이션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표적 중심적 접근법 은 사이버 오퍼레이션의 효과가 얼마나 심각한지 여부에 대한 고려 없이 사이버 오퍼레이 션의 대상의 성격에만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또한 효과 중심적 접근법은 무력 사용과 비무력적 강제사이의 전통적 구분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나타내며, 물리적 효과만을 고려하여 사이버 오퍼레이션이 물리적 효과를 야기하 지 않고도 한 국가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각각의 접근법이 가지는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이버 오퍼레이션이 무력 사용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효과 중심적 접근법이 국제법 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접근법임은 부인하기 힘들다. 또한 최근 서방국가들을 중심으로 효과 중심적 접근법 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이버 오퍼레이션에 UN헌장 제2조 4항의 무력 사용의 개념 을 적용하는 접근법에 대하여 검토해보고, 최근까지의 국가들의 실행을 고려하여 그러한 접근법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As cyberspace has emerged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ts use has expanded, it has become an attractive means or a target for taking military advantage. As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changed, countries were concerned about how jus ad bellum, which governs the use of armed force by states, could be applied to cyberspace. There are three approaches to applying the concept of use of force to cyber operations, but they are not all completely satisfactory. First, the instrument-based approach,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of the means used determines whether the prohibition in the Article 2(4) of the UN Charter applies, is difficult to apply to cyber operations. Second, the target-based approach has a limitation in that it focuses too much on the nature of the target of cyber operations without considering how serious the effects of cyber operations. Third, the effect-based approach represent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obscure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armed coercion (armed force) and non-armed coercion, accordingly blurring normative distinction between the prohibition of the use of force and the prohibition of non-intervention. This approach, which considers only the physical effects of cyber operation, overlooked the fact that cyber operations can threaten the safety of a country without causing a physical effect. Despite the limitations of each approach, it is hard to deny that the effect-based approach is the most supportive approach among international law scholars. In addition, recently this approach has been expanded around Western countri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ach of applying the concept of use of force in Article 2(4) of the UN Charter on cyber operations, and assess these approaches in light of the recent state practices in that reg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