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서바이버>와 <무한도전!> 비교분석 (Reality and Competition in Entertainment Programs: A Comparative Study on ‘Survivor’ and ‘Muhan Dojeon(Endless Challeng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0.06
31P 미리보기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lt;서바이버&gt;와 &lt;무한도전!&gt;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권 / 1호 / 89 ~ 119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숙, 조경진

    초록

    오락프로그램에서 ‘리얼리티’가 차용되는 방식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서바이버>와 한국의 <무한도전>을 비교분석했다. 배경, 인물, 서사 구축 과정에서 리얼리티가 생산되는 방식을 비교했고, 이를 토대로 경쟁가치가 생산되는 방식을 분석했다. 두 프로그램 모두 결과보다 인물의 행위 과정에 초점을 두며, 이 과정에서 인물의 변형 과정에 초점을 둔다. 다큐멘터리 관습을 강조하는 <서바이버>는 오지의 자연에서 극한 상황에 처한 인물의 생존경쟁 과정을 보여준다. 웃음의 유발에 초점을 둔 열린 포맷의 <무한도전>은 소재와 배경의 개방성을 통해 실재감을 획득한다. <서바이버>는 정형화된 게임의 형식에 의해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무한도전>은 이야기 전개가 유연하고 개방적이다. 게임 형식을 취하는 <서바이버>는 우승과 탈락을 토대로 한 경쟁과 동맹이라는 엄격한 경쟁이 적용되는 반면, 과제 수행 과정에서 경쟁력 있는 인물로 변형해야 하는 <무한도전>은 협력과 경쟁이라는 유연한 방식의 경쟁이 적용된다. 모두 집단 내 역학 관계와 인간의 행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경쟁이 서사를 이끄는 기본축으로 작동한다. 리얼리티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은 주로 게임의 형식을 토대로 경쟁과 갈등을 창출하는 인물의 행위와 행위 전개 과정에 초점을 둔다는 점이 밝혀졌다.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의 형식을 토대로 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안에서 정해지지 않은 것들과 가변적인 요소에 의해 언제든 대체될 수 있다는 대체 가능성, 제작진의 개입 가능성, 인물이나 캐릭터의 변형 가능성을 토대로 기존의 잘 짜인 오락프로그램과는 다른 방식의 리얼리티를 생산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study of how entertainment programs borrow aspects of ‘reality’ and ‘competition’ as represented in ‘Survivor’ and ‘Muhan Dojeon(Endless Challenge)!’. We have analyzed the ways by which reality was created through the setting, protagonists, and narrative construction, and have used this reality as a base to analyze how notions of competition were constructed. Both programs focus more on the actions, rather than the outcome of actions, of the protagonists and call atten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son. ‘Survivor’ shows the survival strategies adopted by protagonists in extreme environments through a documentary format that is highly ritualized ‘Muhan Dojeon’ adopts a more flexible and open format intent on producing laughter through the serendipitous situations that arise of this uncertain format. The two programs differ in framing that reality(structure vs. loose structure), but converge in the way they demand that participants transform themselves into competitive ‘contestants’. Both programs put weight on the power relations between contestants, and competition becomes the main device that drives the narrative. By loosel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game’, these two programs rely on the uncertain outcomes that are generated through that frame to produce a ‘reality’ that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other entertainment progra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