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민속학적 시각이란 무엇인가- (Dionysus and Vernacular-what is the folkloristic perspectiv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0.02
41P 미리보기
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민속학적 시각이란 무엇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5권 / 167 ~ 207페이지
    · 저자명 : 시마무라 다카노리

    초록

    민속학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독일에서 정비되었는데, 거의 일관적으로 ‘패권․보편․주류․중심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위상’과는 다른 차원에서 전개되는 인간 삶에 착안함으로써, ‘패권․보편․주류․중심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위상’ 측의 기준으로 형성된 지식체계를 상대화하고, 초극하는 식견을 만들어 내는 것을 지향해 왔다. 대상파악을 위한 주요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 바로 ‘folklore’, ‘vernacular’와 같은 개념이었다. 최근 미국 민속학에서 다용되는 ‘vernacular’는 종래 사용돼 온 ‘folklore’라는 용어가 “시골의 케케묵고 기묘한 습관”으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는 데 비해, 그러한 오해를 회피하고 현대사회의 “‘패권․보편․주류․중심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위상’과는 다른 차원에서 전개되는 인간 삶”의 다양성을 정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민속학의 흐름과 병행해, 철학에서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는 소크라테스를 시작으로 근대 데카르트, 헤겔로 대표되는 이성주의, 합리주의, 진리주의를 비판하고,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 ‘디오니소스’를 거론하여, 대(對) 이성주의적, 대 합리주의적, 대 진리주의적인 영역이야말로 인간에게 일차적인 삶의 힘이라고 논했다. 이후, 베버(Max Weber, 1864~1920), 바타유(Georges Bataille, 1897~1962), 바흐친(Mikhail Mikhailovich Bakhtin, 1895~1975), 르페브르(Henri Lefebvre, 1901~ 1991), 마페졸리(Michel Maffesoli, 1944~) 등의 철학자 및 사회학자가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둘러싼 철학적 사고를 전개하였다.
    민속학에 의한 “‘패권․보편․주류․중심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위상’과는 다른 차원에서 전개되는 인간 삶”의 탐구, 특히 ‘패권․보편․주류․중심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위상’을 이성주의, 합리주의, 계몽주의로 가정했을 경우, 사회․문화철학에서의 디오니소스적인 탐구와 문제 관심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사회․문화철학은 바로 철학적인 영위로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탐구하는데, 민속학에서는 사회․문화철학과의 관계를 의식하지 않고, 구체적인 현장에서 디오니소스적인 탐구를 수행해 온 것이다. 종래, 양자를 결부시켜 논의한 시도는 거의 없었지만, 앞으로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둘러싸고, 철학과 민속학과의 변증법적인 논의가 깊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From the end of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folklore was organized in Germany. By consistently aiming to the human life which develops in the dimension different from the hegemony․universal․mainstream-centered social status, folklore sought to produce the perspective to relativize and overcome the knowledge system formed by the hegemony․universal․mainstream-centered social status. The concepts such as folklore and vernacular were used as the essential concepts to recognize the object.
    Compared to the fact the term ‘folklore’ tends to be misunderstood as ‘an old and strange rural custom’, the term ‘vernacular’, which is recently often used in American folklore, avoids such misunderstanding. And it is recognized as a concept to identify the diversity of human life in modern society, which is developed in the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hegemony․universal․mainstream-centered social status.
    However, aligned with the tendency of folklore as above, Friedrich Nietzsche (1844~1900) criticized rationalism and the principle of truth-which start from Socrates and is represented by Decartes and Hegel. Also, by mentioning the Dionysus in Greek myth, Nietzsche asserted that the realm of counter- rationalism and counter-truth is the primary power of life for human. Afterward, philosophers and sociologists such as Max Weber(1864~1920), Georges Bataille(1897~1962), Mikhail Mikhailovich Bakhtin(1895~1975), Henri Lefebvre(1901~1991), and Michel Maffesoli(1944~) developed philosophical ideas regarding the ‘Dionysian thing’.
    When assuming the hegemony․universal․mainstream-centered social status as rationalism and Enlightenment, the examination on human life by folklore shares the interest with the Dionysian examination of sociocultural philosophy. While the sociocultural philosophy examines the ‘Dionysian thing’ withi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folklore practices Dionysian research on the specific field,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ocultural philosophy. By far, there has been almost no attempt to connect the sociocultural philosophy and folklo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urse between philosophy and folklore would become more significant regarding the ‘Dionysian 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