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 공격에 대한 공법적 대응의 기초 (The foundation in publlic law for response to cyber attac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9
23P 미리보기
사이버 공격에 대한 공법적 대응의 기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4권 / 3호 / 87 ~ 109페이지
    · 저자명 : 박재윤

    초록

    전세계적으로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사이버 공격의 양상은 단순한 개인의 범죄활동으로서 수사의 대상이 되는 것에서부터, 테러행위로서 국가안보에 위협으로서 경찰작용 내지 정보활동의 대상이 되는 것에까지 미친다. 더 나아가 무력사용에 준하는 물리적 피해를 야기하게 되면, 이는 전쟁에 준하는 것으로서 국제법의 적용대상으로 진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법은 형사법과 국제법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이버 공격은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을 만큼 원인지나 원인행위자를 명백히 규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사이버 공격의 배후에 있는 원인자를 밝히는 것은, 인터넷 설계의 문제, IP 변조, 패킷 세탁 등과 같은 위장수단, 사이버 공격의 국제성과 추격의 시간적 지연, 인간과 기계 사이의 공백 등의 기술적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원인자에 대한 추격에 성공하더라도 국제법적인 차원에서 국가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법적인 책임귀속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국가기관은 아니지만 국가의 위탁이나, 지휘, 감독 하에서 사인의 행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국가의 책임이 인정되기 위하여 국제사법재판소는 국가나 국가기관이 개별적인 행위에 대하여 ‘효과적인 통제(effective contro)’를 하여야 책임귀속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 후에도 여전히 법적 입증의 문제는 남는다.
    사이버 환경에서의 악의적인 행동을 포착하는 개념을 설정하는 문제는, 비단 법적용의 범위와 효과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법정책적인 측면에서 그 행위에 대한 대응방향을 정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정치적인 관점에서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수사적 기능을 갖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사이버 공격은 일종의 집합개념으로서, 사후적으로 원인자, 원인지, 피해대상 및 정도 등이 밝혀지게 되면 법적용이 구별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그 동안의 불명확한 법적 상태를 대처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에 의하여 발생하는 사실적·법적 불명확성의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바로 국가와 공법의 중요한 임무가 될 것이다.
    공법적 대응으로서 원인규명을 위하여 행정조사와 정보교환제도가 각국의 입법례에서 사용되고 있다. 사고의 원인을 밝히는 행정조사에 있어서는 그 결과가 수사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형사법상의 적법절차를 우회하는 문제가 있다. 각국의 입법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정보교환 내지 신고제도는 사고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고 보안조치를 강구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어서, 상호간의 신뢰의 기반 하에서 솔직하고 자유로운 정보교환을 촉진하도록 제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사이버 공격에 대한 사후적인 대응이 언제나 한계가 있으므로, 환경법상 마련된 사전배려원칙을 적용하여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적, 법적 안전장치를 사전에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국가의 책임이 된다.
    최근 정부안으로 제출된 국가사이버안보법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특히 개념정의에 있어서의 불명확하고 포괄적인 점, 사고의 통보와 조사에 있어서 나타나는 법체계적인 문제점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사이버 보안법제에 완전한 체계구축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지금부터라도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입법적 기초를 차분히 점검하자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며 향후의 과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cently increasing phenomena of cyber attack cover from mere individual criminal offences that is target of criminal investigation, to acts of terrorism that bring a intelligence agency for threat to national security. Furthermore this attack could become a cyber war ruled by international law when the damage of it surpass physical damage like use of armed force. Most of cyber attacks can not be inquired into to such an extent that the causer of attack is fully identified and prosecuted.
    This attempt to reveal the actor in hiding behind might end in failure, because of technical problems like architecture of internet, disguising methode, internationality, time gap, gap between machine and man, etc. Although the actor can be identified, the question about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of state and evidential problem will remain still.
    The concept of cyber attack should be treated as collective one consist in various legal systems and applicabilities. It is a very important mission for state and public law to respond to the risk of uncertainty caused by cyber attack,As a measure of public law’s response, several institutions can be chosen lik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sharing of information, precautionary instruments in technic and legal areas. This study covers also Draft of National Cyber Security Ac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Draft has several problems of ambiguity of legal concepts, broad applicability and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wer etc. As a response to situations from lack of knowledge about Cyber phenomena, just a statute can not become a total solution like traditional area. The legislative foundation to protect from the risk of cyber attack should be sought and reviewed step by step for that r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