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雷虛 金東華의 佛敎 認識 - 우이 하쿠주(宇井伯壽)와 관련하여 - (A Study on Buddhist Awareness of Noe Heo Kim Dong - hwa: In relation to Ui Hakuju)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雷虛 金東華의 佛敎 認識 - 우이 하쿠주(宇井伯壽)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9호 / 199 ~ 234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불교학자인 뇌허 김동화(雷虛 金東華, 1902~1980)의불교 인식을 동시대 일본의 대표적인 불교학자인 우이 하쿠주(宇井伯壽, 1882~1963)와관련하여 살펴본 글이다. 뇌허는 출가한 학승으로 학문을 시작하여 <불교학개론>을저술하여 강론했지만, 만년에는 대중적 학자로서 <불교교리발달사>를 저술하여 불교학을 대중의 공간으로 펼쳐내었다. 그는 논저를 통해 불교학을 대중의 학문으로 확장하였으며 불교학계와 일반학계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연 첫 번째 학자였다. 뇌허의 불교학 지형도가 우이 하쿠주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흔적은 찾을 수 없다. 그가 <불교학개론>을 저술할 때 직전에 나온 우이 하쿠주의 <불교범론>의 서설과 서언에 이은 삼보의 편재는 참고했을 것이다. 하지만 내용면으로 들어가서는 참고의 흔적이 크게 보이지 않는다. <불교교리발달사>와 <불교사상의 기초>의 연관성은 더욱 없으며 우이 하쿠주의 <불교철학의 근본문제> 역시 뇌허에게 영향을 준 저작이라고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뇌허의 저작은 우이 하쿠주의 저작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거나 힘입었다는 평가는 지양되어야 한다. 오히려 그의 저작은 당시의 국내 불교학 연구의 지형으로 볼 때 독자적이고 창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뇌허의 불교 인식은 일심(一心) 이문(二門, 4綱/4敎)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는 중국 종파불교의 한계를 넘어서서 불교의 전체를 보고자 하였다. 뇌허가 제시한 불교의 벼리는 일심이었다. 그의 4강요와 4교판은 일심을 구체적으로 해명하기 위한 두 교문이었다. 하지만 우이 하쿠주에게서는 ‘일심’과 같은 사상적 기호와 ‘4강’과 ‘4교’와 같은 체계적 구조가 보이지않는다. 바로 이 대목에서 사상가로 나아가는 뇌허와 연구학자로 남아있는 우이하쿠주의 면모가 드러난다. 따라서 뇌허의 학문적 화두는 첫 저작인 <불교학개론>에서부터 최후작인 <불교교리발달사>에 이르기까지 ‘불교교리의 체계적 연구’에 겨냥되어 있었다. 그 결과 그는 평생을 불교의 전문화와 대중화에 헌신하였다. 뇌허는 수많은 논저를 통해 일심의 철학을 역설하였으며 그는 사후작인 <한국불교사상의 좌표>를 통해 불교의 본질인 일심을 재천명하였다. 그의 일심(一心) 이문(二門, 4綱/4敎)의 구도는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심진여/심생멸)의 구조와도 상응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the Buddhist awareness of Noe Heo Kim Dong - hwa(1902~1980), the most prominent Buddhist scholar of Korea, in relation to Ui Hakuju, a renowned contemporary Buddhist scholar of Japan. Noe Heo who began academic pursuit as a scholastic monk wrote a book called “Introduction to Buddhist Studies” and provided related lectures. In his old age, he wrote a book "History of Development of Buddhist Doctrine" as a public scholar, bringing the Buddhist studies into public realm. Specifically, he broadened the scope of Buddhist studies into public realm through his books and is known to be the first scholar who opened up the way for Buddhist academic circle and ordinary academic society to communicate mutually. There is no trace showing that Noe Heo's topography of Buddhist studie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Ui Hakuju, etc. He might have been referring to the omnipresence of Sambo, along with preface and foreword of Introduction to Buddhism written by Ui Hakuju which was published when he wrote the Introduction to Buddhist Studies. However, the trace of such reference is not found to be explicit in terms of contents. No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History of Development of Buddhist Doctrine” and “Basics to Buddhist Ideology.” The “Fundamental Issue of Buddhist Philosophy” written by Ui Hakuju is not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Noe Heo. Therefore, the view should be avoided that books written by Noe Heo were influenced by books authored by Ui Hakuju. Rather, the books written by Noe Heo were unique and creative from the standpoint of topography of research in the field of domestic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The Buddhist awareness promoted by Noe Heo consisted of One Mind and Two Aspects of 4 outline of a doctrine(四綱)/ 4 doctrinal taxonomy(四敎). He attempted to move beyond boundaries of factional Buddhism and took holistic approach towards Buddhism. Noe Heo was single-minded so as to desist from temporary Buddhism. 4 outline of a doctrine(綱要) and 4 doctrinal taxonomy(敎判) were the two religious questions for specific clarification. Thus, academic focus of Noe Heo was placed primarily on systematic study of Buddhist doctrine which covered whole array of his books ranging from “Introduction of Buddhist Studies”, his first book, to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Buddhist Doctrine", his last book. As a result, he devoted himself to spe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throughout his life. Noe Hoe emphasized the philosophy of single - mindedness through many books authorized by him and reiterated single-mindedness, the essence of Buddhism, through “Coordinates of Korean Buddhist Ideology”, his post - mortem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