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심소(정진․경안)에 관한 고찰(Ⅰ)- 감산의 『백법논의』를 중심으로 - (Thoughts on Kuśala-caitta(vīrya․praśrabdhi): Focusing on Hanshan’s Bǎifǎluny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4.04
30P 미리보기
선심소(정진․경안)에 관한 고찰(Ⅰ)- 감산의 『백법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2호 / 153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명우

    초록

    세친은 ‘5위백법’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한 『대승백법명문론』을 저작한다. 이에 대해 감산이 『백법명문론논의』(이하 『백법논의』)로 ‘5위백법’에 대해 주석한다. 그 중에 본 논문은 감산의 『백법논의』에 나타난 ‘선심소’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선심소는 11개이지만, 지면의 제약으로 나머지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 정진․경안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백법논의』의 전체 구성 및 저작 의도를 살펴보았다. 감산은 『백법논의』의 저작 의도를 참선 수행자들이 유식을 모른 채 맹목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밝힌다. 또한 『백법논의』는 정진․경안등의 선심소를 참선 수행과 관련지어 주석하고 있는데, 이것이 다른 주석서와의 차이점이자 특색이다.
    그리고 논자는 정진․경안에 대한 감산 주석의 사상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세친의 『구사론』(한역본․범본)․『『대승오온론』(한역본․범본), 무착의 『집론』(한역본․범본), 호법의 『성유식론』, 세친의 『유식삼십송』에 대한 안혜의 주석인 『유식삼십송석』(범본) 및 『대승광오온론』(한역), 감산의 손상좌인 지욱의 『백법명문론직해』 등의 유식 논서를 인용하여 참고 자료로 제시했는데, 감산의 유식사상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Vasubandhu writes Bǎifǎmíngménlùn(大乘百法明門論), a brief description of ‘One hundred-dharma(五位百法)’. In response, Hanshan commented on ‘One hundred-dharma’ as Bǎifǎlunyi(百法論義).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s the ‘kuśala-caitta’ in Hanshan's Bǎifǎlunyi. There are 11 kuśala-caitta, but due to the constraints of the ground, I will defer the rest to the next opportunity, focusing first on vīrya, praśrabdhi. To do this, I first looked at Bǎifǎlunyi's authorial intent and overall composition. Hanshan reveals that Bǎifǎlunyi's intention in writing is to ensure that practitioners do not blindly practice Vijñāpti-mātra without knowing it. In addition, Bǎifǎlunyi commentates on vīrya, praśrabdhi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Zen, which is a distinction and characteristic from other commentaries.
    And in order to clarify the ideological basis of Hanshan's commentaries, I have cited and presented as references the Pañcaskandhaka(the chinese version, sanskrit version) of Vasubandhu, Abhidharmasamuccayabhāṣya(the chinese version, sanskrit version) of Asaṇga, Vijnaptimatratasiddhisastra of Dharmapāla, Vijñaptimātrāsiddhi (Triṃśikā) and Pañcaskandhaprakaraṇavaibhāṣya(大乘廣五蘊論) of Sthiramati, and Bǎifǎmíngménlùnzhíjiěi(百法明門論直解) of Zhìxù(智旭), grandson disciple of Hans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