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存齋 魏伯珪의 「原風水」와 ‘묘지제도 개혁론’ (A study of Jonjae Wi Baekgyu with regard to his theory of wonpoongsoo (原風水) and his discourse on cemetery reformatio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5.12
44P 미리보기
存齋 魏伯珪의 「原風水」와 ‘묘지제도 개혁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46권 / 65 ~ 108페이지
    · 저자명 : 유기상

    초록

    이 글은 존재 위백규의 실사구시적 풍수지리 사상과 ‘묘지제도개혁론’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아울러 풍수고전과 풍수설의 주요쟁점을 논변한 탁월한 풍수학 전문논설인데도 아직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은 위백규의 「原風水」를 소개하고 조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종래의 이른바 ‘反풍수론’을 주장한 대부분의 실학자들은 풍수의 일부인 묘지풍수의 동기감응만을 부분 부정한 것이고, 풍수이론에 대한 구체적 논증이 없는데도 마치 풍수설 전체를 부정한 것처럼 잘못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백규는 전문적인 풍수논설인 「原風水」를 통하여, 풍수설의 핵심이론을 조목별로 논증하여 합리성이 있다고 판단한 형세파 이론 같은 부분은 취하고, 이기파 이론이나 화복론처럼 불합리한 것은 버리자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그간 소개된 실학파의 풍수논변 가운데서도 가장 실사구시적이고 합리적인 제3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풍수학 논증에 대한 접근방법과 풍수지리 인식은, 내용과 방법론 모두 가장 실학자다운 사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그가 바람직한 터잡기 방법의 하나로서 독창적으로 제시한 ‘影法’은 형세론 택지법을 기본으로 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占穴法이라는 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위백규의 풍수와 관련한 사회개혁론으로서의 ‘묘지제도개혁론’과 山訟예방대책은 實效性과 的實性을 두루 갖춘 훌륭한 제도개혁방안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eng shui theories of Jonjae Wi Baek-gyu and the reformation of the cemetery system. The paper also aims to bring his view on poongsoo (原風水) to the academic community where it is not yet well known. In the past, most scholars treated geomantical systems as either completely right or completely wrong. However, Wi Baek-gyu incorporated reasonable ideas such as those from hyeong se ron (形勢論: forms and configurations school) and rejected those ideas he found unreasonable such as those in igi ron (理氣論: the compass school). By doing this he was able to show a non-binary approach to feng shui thought. On account of this, we can state that his reasoning and approach to poongsoo is worthy of the best Silhak scholars.
    One particular method that stands out is his guidance on how to choose sites (影法) in such a way as to aid the coexistence of man and nature.
    His suggestions for the reformation of the cemetery system and for reducing conflict regarding burial grounds are realistic and makes for good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