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내장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 (Methods of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Cataract Visual Impairment)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0.12
20P 미리보기
백내장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26권 / 4호 / 185 ~ 204페이지
    · 저자명 : 한동일, 신연서

    초록

    본 연구는 백내장 시각장애 학생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문헌 고찰과 인터네 검색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한 후 지원 방안을 도출했다. 또한 이러한 지원 방안은 시각장애 교육 교사와 학생 자신 및 가족과 동료들에게 백내장에 관한 정보 제공과 함께 교육 장면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기초와 토대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에 따른 백내장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내장을 지닌 시각장애학생은 심리ㆍ행동적 문제를 갖게 되고, 이로 인해 내적으로는 불안과 혼란을 경험하고, 외적으로는 위축과 퇴행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시각장애교육 교사는 관찰과 주기적인 상담을 통해 심리적 부담을 완화시켜 주어야 하고, 성공지향적인 훈련 계획을 수립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지원해야 한다. 둘째, 백내장을 지닌 시각장애학생에게는 수정체 혼탁의 위치나 정도에 따라 광량 조절을 달리해야 한다. 이것은 수정체 중심부에 혼탁이 있을 경우에는 저조도를 제공해 주어야 하고, 주변부에 혼탁이 있을 경우에는 고조도를 제공해 주며, 혼탁이 비정형일 경우에는 학생에게 조명 조절 장치를 제공하여 원하는 광량을 얻도록 해 주어야 한다. 셋째, 읽기와 쓰기 지원에 있어서는 학습매체 평가를 통해 각 시각장애학생에게 적합한 학습매체와 학습자료를 선별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고, 광학 및 비광학 기구의 처방과 사용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읽기와 쓰기 과제 분량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백내장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보행 지원은 학생의 시환경을 고려하여 실내와 실외 환경에서 다양하게 실시되어야 하고, 다양한 보행 보조기구 활용 방법과 지팡이 사용 방법을 포함한 자기보호법 등에 대한 기술 습득 지도가 반복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일상생활 지원에 있어서는 시환경에 기초한 의생활, 식생활, 사회적응 기술 등이 중점적으로 지도되어야 하고, 이러한 지도 는 학생의 실제 생활장면을 중심으로 다면적이고 종합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the literature and searching the internet to prepare the methods fo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cataract visual impairment and the methods to support were induced by analyzing the data. In add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mselves as well as their families and friends with the information regarding cataract and the fundamental theoretical basis for appropriate and effect support in the educational setting.
    The methods fo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cataract visual impairment are summarized as followings:First, students with cataract visual impairment may ha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us experience anxiety and confusion internally and cowering and regression externally. The teachers for visual impairment education should relieve the psychological burden through observation and periodic counselling and instruct and support them by establish success-oriented training plan so that they can cultivate a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Second, the light intensity should be regulated for the students with cataract visual impairm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degree of lenticular opacity. Light at a low luminance should be provided if the opacity is at the center of the lens and light at a high luminance if the opacity is around the lens. If the opacity is atypical, a light-controlling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student can control the light to the desired intensity.
    Thi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or reading and writing, the learning media and materials appropriate to the individua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need to be provided selectively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media. In addition, optical or non-optical instruments should be provided and the training for the use should be carried out. The amount of reading and writing assignment should be also controlled.
    Fourth, orientation and mobility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cataract visual impairment should be performed in a variety of ways indoors and outdoors considering the visual environment of each student. Instructions regarding orientation and mobility skills including self-protecting methods such as utilization of various supportive tools for orientation and mobility and use of a stick should be provided repeatedly and systematically.
    Fifth, regarding the support for daily living, instructions should be focused on wearing clothes, eating and skills to adjust to the society based on the visual environment. The instructions should be carried out concentrating on the actual life settings of the students in a multilateral and comprehensive man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